Issues and Direction of the Study on the Taesŭngkisillon pyŏlgi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4:109-136 (2023)
  Copy   BIBTEX

Abstract

현대 동아시아의 원효 연구에서 『별기』는 거의 주목받지 못했고, 특히 한국에서는 『회본』에 의지한 결과 『소』가 중심이 되고 『별기』는 부수적인 존재로 인식되는 경향이 강하 였다. 그래서 본고는 원효의 기신론관을 더욱 명확히 드러내고자, 『별기』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의 연구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우선, 『별기』를 둘러싼 쟁점 가운데 원효의 『기신론』 이해와 『별기』와 『소』의 저술 순 서에 대한 여러 설을 살펴보았다. 전자에서는 원효의 기신론관을 ‘중관․유식의 종합․지 양’으로 보는 주장과 그와 관련하여 중관․유식을 진여문․생멸문에 대응시키는 관점에 대한 비판이 주요 논쟁점이었다. 후자에서는 『별기』→『소』라는 통설에 대해 『소』→『별기』또는 『별기』→『소』→편집된 형태의 『별기』라는 반론이 있었다. 다음으로는 『별기』와 『소』의 구별을 처음으로 언급한 박태원을 기준으로 하여 1990년 이후 『별기』 연구를 검토하였다. 『별기』를 주제로 하거나 원효의 기신론주석서 연구에서 『별기』를 인용한 경우를 분석한 결과, 『별기』의 대의문, 진여문․생멸문의 이사(理事), 심 체와 심상, 제7말나식 부분의 인용 빈도가 높았다. 공통적으로 『회본』에 수록된 『별기』의 내용으로 이는 『회본』을 중심으로 연구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는 『별기』와 『소』를 구분하지 않고 『별기』 텍스트 간의 차이를 간과하는 문 제점을 인식한 김준호와 김천학의 연구를 통해 앞으로의 『별기』 연구 방법을 두 측면으로 제언하였다. 사상적으로는 『별기』를 독립된 문헌으로 인식하여 『별기』와 『소』의 시차에 따른 원효의 사상적 변화를 읽을 필요성이다. 문헌적으로는 글자나 구절의 차이가 있는 현 존하는 『별기』 텍스트의 정본화이다. 비록 사상과 문헌으로 분류하였지만 이 두 가지는 정본화를 바탕으로 사상적 변화를 고찰하는 방식으로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별기』에 이어 『소』의 정본화도 시도되어야 할 것임을 제안하였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518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孟子』의 『書』 인용에 관한 연구. 이은호 - 2013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76 (76):215-238.
Xunzi’s Theory of Justice and Utility and Economic Ethics. 박영진 - 2011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82):339-366.
荀子와 先秦儒家 樂論의 成立에 대한 연구. 정병섭 - 2010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64 (64):349-382.
漢代 尙書學의 成立과 政治的 意義. 정병섭 - 2009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57 (57):247-275.
「經說」을 통해 본 眉叟 許穆의 禮樂論. 선우미정 - 2019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99 (99):7-32.

Analytics

Added to PP
2023-10-24

Downloads
15 (#1,246,497)

6 months
3 (#1,491,886)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