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about Establishment of Gānzhī (干支) in the Theorization of Zǐpíng (子平) Mìnglǐxué (命理學)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68:85-105 (2023)
  Copy   BIBTEX

Abstract

命理學이란 중국 고대로부터 시원하여 음양오행에서 발현된 천간과 지지로 사람의 命式을 세우고 다양한 논법으로 길흉을 해석하는 학문이다. 논법의 이론화는 命에 대한 체계적 연구가 시작된 漢대에 첫 번째 분기점을 맞이하였고, 宋대 초기에 그 논리가 정교해지고 법칙이 규격화되었다. 음양오행, 천간 지지, 운명과 길흉 등에 관한 학술적 의미는 꾸준히 연구되어 왔지만 명리학이라는 명칭을 덧씌우면서 학술의 전당에서 제대로 안착하지 못하는 현실도 경험하였다.BR 子平명리학은 송대 이후 전개된 명리학의 今法이론을 칭한다. 이 논문은 명리학의 금법이 정립된 과정에 관심을 가지고, 「계사전」의 ‘易有太極’에서 시원하여 『太極圖說』과 『易學啓蒙』에 이어진 태극・양의・사상・팔괘의 생성 사유가 자평 명리학에서 태극・음양・오행・천간・지지・사시・만물의 도식으로 이입되는 과정을 연구하였다. 금법 이론의 주요 내용은 四時月令에 의거하여 日干의 상황을 서술하고 일간과 팔자의 생극제화에 따라 천간과 지지로 인간의 부귀・수요・빈천을 나타내는 것이다. 금법 이론이 정교해지는 과정에 논리적이고 철학적인 근거를 제공한 송대의 우주발생론과 자평 명리학의 초기 저술이 이 논문이 주로 참고한 내용이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459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Mathematical Principles Characterized by Lee Won-Koo’s Thoughts of the Yixue. 임채우 - 2007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44 (44):319-335.
Hetu’-‘Luoshu’'s laws of changes and Ilbu' ‘Right Change. 전광수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9:295-323.
Yi-wei’s Taiyi-Yuanqi View and Its Pre-Experiential World-View of Qi-Xiang and Yun-Shu. 김연재 - 2022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9:157-179.
『주역본의』의 성리적 성격에 관한 연구. 주광호 - 2015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43 (43):143-169.
漢代 尙書學의 成立과 政治的 意義. 정병섭 - 2009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57 (57):247-275.

Analytics

Added to PP
2023-12-13

Downloads
5 (#1,756,675)

6 months
5 (#1,071,419)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