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moral instruction as a poetic act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31 (31):87-111 (2011)
  Copy   BIBTEX

Abstract

도덕과 수업의 주요한 목적 중 하나는 의미 있는 도덕적 앎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덕적 의미는 인식주체에게서 발생하는 것이며, 의미 발생에서 우연은 배제될 수 없다. 만약 우연을 배제하고 조작적이고 공학적으로 도덕과 수업에 접근한다면, 학습내용이 전달 될 수는 있어도 의미 있게 수용되기는 어렵다. 이러한 난점으로 인해 도덕과 수업에서는 체제적 접근에 대한 대안적 관점을 요청한다. 그 대안을 찾기 위해서는 체제적 접근에 전제된 설명의 논리부터 재고할 필요가 있다. 도덕과 수업이 체제적이고 조작적인 행위로 이해되는 배경에는 설명의 논리가 있기 때문이다. 설명의 논리는 학생보다 우월한 지능을 가진 교사가 학생에게 지식을 전달하는 행위로 교육을 이해하며, 이 과정에서 교사의 전달에 대한 학생의 번역은 간과된다. 도덕과 수업에서 도덕에 대한 교사의 번역은 학생의 번역에 의해 의미가 발생하며, 나아가 새로운 의미로 확장된다. 이처럼 도덕과 수업을 번역과 번역으로 연결된 과정으로 이해할 때, 체제적 접근에서 간과하는 상징으로서의 교수, 공백으로서의 교수텍스트 구성, 우연으로서의 학습이라는 측면은 재조명될 수 있다. 도덕과 수업에서 이러한 측면들을 부각시키면, 도덕과 수업은 일종의 시 행위와 같다. 이러한 이해에 터하여 시 행위와 도덕과 수업의 닮음을 도출할 수 있다. 시 행위와 닮은 도덕과 수업에서 교수텍스트는 불변체적 의미와 더불어 불확정성을 전제하는 변체적 의미를 갖는다. 도덕과 교수텍스트가 갖는 불변체적 의미라는 제약성과 변체적 의미에서 가능한 개방성은 학생의 반응에 의해 도덕적인 수업으로 전환된다. 이 전환은 텍스트와 독자가 심미적으로 상호 교통하는 의식에서 비롯되듯이, 도덕과 학습에서 교수텍스트가 의미 있는 앎으로 수용되기 위해서는 학습목표를 의식하지 않는 학습이 가능해야 한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219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The Aspects of Discourse in Moral Instruction in School. 이지명 - 2008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68):273-299.
전통교육 관련 단기 교육프로그램 사례분석 및 개선에 관한 연구. 송영민 - 2019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62 (60):289-312.
A study on the symbolism and moral instruction. 송영민 - 2012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33 (33):309-334.
An Integral Approach On Moral Subject Education. 류혜숙 - 2014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96):289-315.
A Study on the Essay Education in Moral Subject Education to make students reflect and change their life. 도홍찬 - 2009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72):273-298.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Instruction focused on ethical inquiry in elementary school. 송영민 - 2010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28 (28):87-116.
Transdisciplinary Learning in Moral Subject Education. 김영은 - 2019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124):241-267.
Reforming Moral Education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추병완 - 2011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80):79-104.

Analytics

Added to PP
2023-02-28

Downloads
3 (#1,852,372)

6 months
3 (#1,475,474)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