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ignificance of Mencius’s Xingshan (性善): Focusing on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nifestation and Realization of Benxing (本性)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90 (90):37-70 (2017)
  Copy   BIBTEX

Abstract

본 논문은 송명시기와 조선시기에 전개된 맹자 성선설의 철학사적 흐름에서 ‘차이’가 아닌 모두 동의하는 ‘같음’의 지점이 무엇인지 찾아보고, 그 특징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만 개별 철학사에 드러난 성선의 특성에 대한 정리 작업은 방대하여 후속 작업으로 남겨두고, 여기서는 맹자 원문에 한정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①인간의 선한 도덕 감정에서 본성이 어떤 특성을 지니고 현현되며, ②智愚나 賢不肖와 같은 도덕 경지의 차이에 따라 도덕 수준이 낮은 일반 사람은 본성 실현을 위해 어떤 수양의 노력을 해야 하는지 규명하였다. 본성 현현의 특성은 ‘사랑의 근거 仁’과 ‘옳음의 기준 義’로 구분하여 고찰하였고, 본성 실현의 특성은 ‘사랑의 실천 居仁’과 ‘옳음의 추구 由義’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본성 현현은 ‘나’를 천지만물과 연결된 일체이자 대체로 규정하는 근거이다. 나는 남과 하나 된 ‘나’이고, 남도 나와 연결 된 ‘남’이므로, 인간은 본성 현현에 따라 조건 없는 사랑[仁]을 베풀어야 한다. 다만 본성은 각기 다른 시간과 공간에서 드러나므로, 현현 과정에서 親疏와 尊卑의 차이가 없지 않을 수 없다. 그렇다고 차등적 사랑이 반드시 ‘親親→仁民→愛物’의 단계로 확장해야 함을 말하지 않는다. 자기가 처한 자리에서 본성 현현에 따라 선후본말을 구분하고 마주한 대상을 사랑하면 된다. 또한 본성 현현은 개인이 처한 시간과 공간에 따라 다르므로, 상황에 맞는 時中이 옳음[義]이 되는 특성을 지닌다. 물론 옳음이 중용의 특성을 지닌다 하여, 보편성이 결여된 것은 아니다. 서로 입장 바꿔 생각하면 보편성은 획득될 수 있다. 본성 실현은 만물일체의 완성을 이상으로 한다. 다만 智愚나 賢不肖와 같은 도덕 경지의 차이에 따라, 일반 사람들은 조건 없는 사랑의 감정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가정에서 실천하고, 점차 주변으로 미루어 확장해야 한다. 그래야 타인과 자연으로 조건 없는 사랑을 확충할 때, 진정성 있고 지속적인 실천이 가능하다. 또한 도덕적 경지가 낮은 사람에게 내면의 직관에 따라 행동할 것을 강조하면, 자칫 욕망을 본성 현현으로 착각하게 하여 그릇된 행동을 조장할 수 있다. 일반 사람은 본성 실현을 위해 내면의 마음을 성찰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인간은 누구나 성인의 경지에 이를 수 있지만, 본심을 상실하는 것이 현실이므로, 돌아봄의 노력을 통해 선한 본성을 실현해야 한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219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A Study on Hu Hong’s concept of “Xing”. 성광동 - 2014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42 (42):233-258.
An Examination of the Origins and Nature of Morality.Dae-Hee Lee - 2020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2:297-328.
Development of Moral Emotion in Mengzi’s Philosophy. 정용환 - 2020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9:293-316.
A Study on the Theory of Benevolence of Confucius. 이강대 - 2011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61 (61):333-353.
Conatus and Suicide in Spinoza"s Philosophy. 장효진 - 2022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64:281-303.
A Study of Xiong Xhi Li's Xing Zhi Cultivation of the mind. 정병석 & 김대수 - 2012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71 (71):233-263.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5 (#1,753,584)

6 months
4 (#1,258,347)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