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tiny and Loving-fate between Consolation and Choice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3:411-430 (2020)
  Copy   BIBTEX

Abstract

철학실천에서 중요한 것은 이론을 넘어선 실천이다. 그런 실천 가운데 하나가 운명에 대해 쉽고도 상냥하게 이야기해주는 것이다. 철학자가 할 수 있는 영역이며 그런 자세야말 로 철학실천의 제1원리가 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점집의 역할이 크다. 사람들은 걱정을 덜기 위해 점을 본다. 그것은 실 존적이며 돌봄의 행위다. 철학실천자들은 심려에서 시작하여 마침내는 배려로 나아가(가 가 빠짐!)야 한다. 우리의 근심 한 가운데 운명이라는 말이 놓인다. 운명은 대체로 과거명제로 쓰인다. 모든 것이 나의 업이고 응과응보란다. 운명은 대과거 다. 왜냐하면 운명은 이미 있(었)고, 지금에서야 현실에서 벌어졌기 때문이다. 운명의 가장 큰 장점은 우리를 위로해준다는 점이다. 가슴이 찢어지는 일을 당했을 때, 그것이 정해진 운 명이거나 신의 시련이거나 업보라고 하면 너무나도 쉽게 내 앞의 비극적인 일을 받아들이게 된다. 운명이라는 말로 모든 것이 이해된다. 그렇다면 철학이 운명을 비틀 수는 없을까? 많은 운명론은 윤리설을 설정함으로써 운명 비틀기 를 한다. 모든 것이 운명이기에 관 조하고, 절제하고, 희생하고, 하다못해 조롱이라도 함으로써 운명에 밟히더라도 지렁이처 럼 꿈틀댄다. 운명이 생명의 생로병사라면 함부로 덤빌 일이 아니지만, 그 앞에서 서보 기, 사귀기, 누리기, 느끼기 를 덧붙여 감히 의지적으로 생각한다. 이것이 철학이다. 운명과 운명애는 다르다. 운명은 수동적이지만 운명애는 능동적이다. 운명은 우리에게 위안을 줄뿐이지만, 운명애는 우리의 운명을 받아들이고 사랑하게끔 한다. 그런 점에서 운 명애는 선택이다. 장자가 말했듯이, 세상은 황당 하고 맹랑 하다. 그러나 위안에 그치지 않고 선택할 때 운명은 즐거운 맞이 곧 환대가 된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459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Seneca on Fate and Virtue Training. 장영란 - 2019 - Korean Feminist Philosophy 31:142-168.
니체의 새로운 종교성과 신의 빈자리. 이관표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9:227-245.
A Study on Integration Leadership to Serve the Korean People. 류성렬 - 2008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71):305-339.
Preventive Dimension of Confucian Morality regarding Adolescent Deviation. 신창호 & 최승현 - 2009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27 (27):417-446.
The Ethical Educational Implications of Nietzschean Humanity. 김세욱 - 2024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8:65-90.
How should we study the traditional philosophy of Zhu Xi's thought now? 이찬 - 2010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34 (34):55-89.
Maŭm ŭl piumyŏn ŏdŏjinŭn kŏttŭl.Sang-un Kim - 2012 - Kyŏnggi-do P'aju-si: 21-segi Puksŭ.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19 (#1,086,124)

6 months
3 (#1,486,845)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