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e Einbildungskraft im transzendentalen Idealismus bei Kant und dem frühen Fichte : Im Zusammenhang mit Selbstbewußtsein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15:347-379 (2016)
  Copy   BIBTEX

Abstract

자기의식과의 연관 속에서 칸트와 초기 피히테의 상상력을 살펴보는 본 논문은, 이론적 자아의 중심이 칸트에겐 통각의 종합적 통일이지만, 피히테에겐 생산적 상상력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칸트의 선험적 상상력은 『순수이성비판』의 초판에선 감성적 직관과 지성을 중간에서 매개하는 독립적인 자발성이긴 하지만, 재판에선 직관연관적 · 객관성구성적 통각의 구조에 속한 자기촉발의 활동일 뿐이다. 칸트의 자기의식은 객관의식에서의 자기의식이다. 이에 따라 범주들의 근원인 통각의 종합적 통일(객관의식)이 통각의 분석적 통일(명료한 자기의식)에 선행하므로, 칸트에겐 통각의 종합적 통일이 모든 인식의 근원적 기초이다.BR 초기 피히테는 상상력을 지식학의 정초와 자기의식의 관념론적 역사에서 다룬다. 그는 생산적 상상력을 이론적 자아의 최초의 근본사실로 생각한다. 이 상상력의 근본사실이 없다면 자아의 통일도 없다. 그는 상상력을 감성적 직관과 지성의 통일적 근원, 시간표상과 객관의 근본규정들인 범주들의 근거로 정초하며, 또한 자기의식의 관념론적 역사의 출발점으로 삼으면서 직관작용과 사유(지성과 이성)와 궁극적으로 자기의식을 가능하게 하는 이론적 자아의 근본능력으로 여긴다. 이처럼 상상력의 근본사실은 피히테에겐 이론적 자아의 다른 모든 표상능력들과 표상수행들을 자기 자신으로부터 전개시키는 근원적 중심이다. 결국 초기 피히테의 상상력 이론은 칸트의 상상력 규정을 선험적 관념론, 즉 근본적으로 주관성이론의 측면에서 체계화하고자 하는 기획이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This entry is not archived by us. If you are the author and have permission from the publisher, we recommend that you archive it. Many publishers automatically grant permission to authors to archive pre-prints. By uploading a copy of your work, you will enable us to better index it, making it easier to find.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5,667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신칸트주의와 하이데거의 기초존재론에서 주관성의 문제. 김정주 - 2021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32:61-90.
Kant’s Theory of Space and the Synthetic Unity of Apperception. 배정호 - 2021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5:163-180.
Study on Consciousness and Self : on Sartre’s La Transcendance de l’ego. 김선하 - 2023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68:1-28.
Young Kant between Wolffian and Crusian Freedom. 박정민 - 2018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23:115-135.
Sartre and the problem of solipsism.Sol Lee - 2016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4:297-313.
The Concept of Imagination in Hume and Kant. 박종훈 - 2009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74):163-191.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1

Downloads
11 (#1,504,453)

6 months
1 (#1,600,438)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