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Pure Perception, Matter -On Bergson’s Theory of Pure Perception-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1:87-113 (2019)
  Copy   BIBTEX

Abstract

베르그손이 1896년의 두 번째 주저 『물질과 기억』 1장에서 제시한 순수 지각 및 이미지 이론은 이 책이 출간된 이래 다양한 해석과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 그럼에도 이 이론의 명확한 의미에 대해서는 여전히 해명되지 않은 바가 많다. 베르그손 스스로가 이 책의 7판 서문에서 이미지 개념과 자신의 순수 지각 이론에 대해 추가적인 해명을 시도하고 있을 정도이다. 우리는 이미지 개념 및 순수 지각 개념과 관련한 다음의 세 가지 명제를 증명함으로써 보다 명확한 해석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 세 가지 명제들은 다음과 같다. 1) 순수 지각은 실재적이다. 2) 물질 자체에 내재한 순수 지각, 물질적 지각은 실재하지 않는다. 3) 『물질과 기억』 1장의 순수 지각 및 이미지 이론은 4장의 물질적 지속 이론과 충돌한다. 이 명제들에 대한 논증은 『물질과 기억』을 구성하는 상반된 두 가지 방향성을 드러내는 데 이를 것이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423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On the mode of existence of Bergson’s pure memory. 주재형 - 2016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29:151.
From the Time of Aion to the Direct Images of Time. 이정우 - 2018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20:143-166.
On Bergson’s Method of Intuition. 주재형 - 2022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37:31-62.
The Second Synthesis and Two Forms of Repetition in Difference and Repetition. 변예은 - 2024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44:27-52.
The Dream of Metacinema: Deleuze, Bergson and Image. 주재형 - 2021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35:31-57.
Flesh of Architecture : J. Pallasmaa’s Phenomenology of Architectural Experience. 박신화 - 2018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79:195-223.
A Theoretical Study on the Pure Cognition of Schopenhauer. 이동건 - 2023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5:193-229.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18 (#1,122,127)

6 months
8 (#610,780)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