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 the Time of Aion to the Direct Images of Time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20:143-166 (2018)
  Copy   BIBTEX

Abstract

본 논문은 들뢰즈가 『의미의 논리』에서 논한 ‘아이온의 시간’을 『시네마 2』에서 논한 ‘시간의 직접적 이미지’ 개념으로 이어서 이해하고자 한다. 특히 오즈의 영화가 시간의 직접적 이미지를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가를 논하고, 이 표현이 곧 들뢰즈가 논한 아이온의 시간의 표현임을 밝히고자 했다. BR 이 논의를 위해 우선 들뢰즈가 크로노스의 시간을 아이온의 시간과 어떻게 구분하는지를 논한다. 이는 곧 『차이와 반복』에서의 ‘시간의 세 가지 종합’에 대한 논의와 『의미의 논리』에서의 ‘사건의 시간’에 대한 논의를 연결시켜 논하는 것이다. 크로노스의 시간이 지속하는 사물들의 시간이고 아이온의 시간이 반복하는 사건들의 시간임을 밝히고자 했다.BR 논문의 후반부에서는 이 시간론의 논의를 기반으로 들뢰즈 이미지론/영화론에서의 시간의 직접적 이미지 개념을 논한다. 특히 들뢰즈가 오즈의 영화들을 분석한 대목에 초점을 맞추어, 오즈의 “필로우 쇼트”들이 정물들을 통해 시간의 직접적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결론적으로 이 직접적 시간이미지들이란 결국 아이온의 시간을, 순수 사건들을 표현하고 있음을 밝힐 것이다. 이 논의를 통해서 들뢰즈와 오즈의 관계가, 아이온의 시간과 시간의 직접적 이미지들의 관계가 밝혀질 것이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423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The Time of Woman and the Time of Aion. 연효숙 - 2015 - Korean Feminist Philosophy 23 (null):89-118.
The Ideal Event and the Time of Aion in Deleuze’s Philosophy. 이진경 - 2022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39:167-195.
On the mode of existence of Bergson’s pure memory. 주재형 - 2016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29:151.
Image, Pure Perception, Matter -On Bergson’s Theory of Pure Perception-. 주재형 - 2019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1:87-113.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1

Downloads
5 (#1,755,212)

6 months
4 (#1,264,753)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