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개인이 발전하고 사회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사회의 변화에 대한 예측을 하고 그 사회구성원에게 필요한 능력이 무엇인가를 찾아 교육을 하는 일이 중요하다. 이에 사회구성원에게 필요한 능력을 역량이라고 규정하고 그것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정하여 교육에 반영하는 노력이 세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하나로 미래 사회가 어떻게 변화할 것이며, 그 사회에서 한국인에게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가를 찾아 도덕윤리 교육과 관련시켜 보고자 한다. 먼저 미래 사회의 특징은 세계화의 확대, 과학기술의 진전, 탈산업사회, 네트워크 사회, 다원주의의 강화, 신자유주의의 심화, 친환경 사회, 통일로의 길, 평생 학습 사회로 진단할 수 있다. 그리고 미래 사회에서 한국인에게 필요한 역량은 갈등 조정 능력, 문제 해결 능력, 의사 소통 능력, 정보 처리 능력, 창의력, 시민 의식,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다문화 이해 능력, 삶의 향유 능력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핵심적인 역량의 대부분이 2007년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 내용에 반영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도덕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미래 한국인의 능력을 교과서와 교수 학습 상황에서 보다 더 반영하여 학생들의 능력을 키우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