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the Formulation of Dependent Origination(Paṭiccasamuppāda) at Nidānasaṃyutta in the Saṃyuttanikāya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26 (26):177-209 (2009)
  Copy   BIBTEX

Abstract

이 글은 깨달음 직후 붓다의 내적 사유로 연기설이 배대된 원인을 비교적 이른 전승에 속하는 상윳따 니까야 인연상응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이 텍스트에서 연기라는 주제로 묶여진 경전은 모두 93개이다. 다시 이것을 갈애, 식과 명색, 무명, 행들이라는 4가지의 기준으로 분류한 것은 다양한 연기설이 공통으로 지향하는 해탈도의 특징을 찾기 위해서이다. 이 분류에 따르면 연기설의 모든 유형은 재생의 관념을 내포하고 있으며 반야에 의한 통찰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즉 바른 삼매에 의한 해탈도가 아니라는 것이다. 연기설에서 반야에 의한 통찰은 고통을 소멸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 고통이 일어나는 원인들을 재생으로 이끄는 직접적인 원인까지 소급하여 분석한 다음, 그 정점에 놓인 원인의 철저한 이욕과 소멸로부터 거기에서 파생된 결과를 하나씩 소멸하는 과정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노사라는 고통에 직면한 자의 문제 제기(여리작의나 숙고) 및 그 인과관계를 반야에 의해 통찰하는 과정으로 설명되기도 하며, 노사~행들까지의 구성요소 하나하나를 4제와 동일한 방식으로 분명하게 아는 차제에서 그 근간을 이루기도 한다. 한마디로 연기설은 반야에 의한 통찰의 다양한 실례를 보여준다는 것이다. 더욱이 반야에 의한 무명의 제거가 불교 해탈도의 중심을 이루는 내용임을 감안할 때, 그 사실여부를 떠나 율장편찬자들이 12연기설을 깨달음 직후에 배대한 이유를 유추할 수 있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459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The Meaning of Art Works in Esthetical Theory of T. W. Adorno and Educational Implication. 노은임 - 2009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53 (53):181-198.
A Study on the Debate on the Authenticity Plato’s Seventh Epistle. 김은주 - 2021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5:1-28.
About Language Constitutes My World.이지중 ) - 2021 - Philosophical Practice and Counseling 11:99-120.
On the Combination of the Four Noble Truths and the Dependent Origination. 김홍미 - 2012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35 (35):115-149.
A Study on the Theory of Benevolence of Confucius. 이강대 - 2011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61 (61):333-353.
Modern Sun-Bee Interlectuals and Religion. 엄진성 - 2022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9:295-319.
From Hanalnim to Hanulnim - Changes in the name of Heaven in Donghak and Chondogyo -. 조성환 & 이우진 - 2022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0:85-106.

Analytics

Added to PP
2023-02-28

Downloads
10 (#1,479,591)

6 months
5 (#1,071,419)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