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Śabdālaṃkāra represented in Bhāmaha’s Kāvyālaṃkāra II. 1~20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41 (41):225-257 (2014)
  Copy   BIBTEX

Abstract

인도는 비단 순수문학의 범주에서 뿐만 아니라 철학서나 종교서에서도 시적 운율과 다양한 수사법(alaṃkāra)을 적용한 게송을 통하여 사상을 전달해 왔다. 인도 고전 시학(詩學)에서 수사법은 Nāṭyaśāstra에 언급된 이후 수 세기에 걸쳐 작시(作詩)의 요소로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였다. 이는 7세기경에 이르러 단순한 수사의 기술로서 뿐만 아니라 시학이론으로서 자리매김하여 수많은 학자들에 의해 활발하게 다루어졌다. 그 가운데 특히 바마하(Bhāmaha)는 자신의 저작인 『카브야알람카라』(Kāvyālaṃkāra, 이하 KĀ)에서 수사법에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그는 수사법이 작시법(作詩法)에서 가장 큰 역할을 하는 요소이며, 심지어 시학의 중심 주제로 다루어지는 라사(rasa)마저도 수사법에 귀속되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KĀ의 수사법 분류에 따르면 크게 ‘소리에 의한 수사법’(śabdālaṃkāra)과 ‘의미에 의한 수사법’(arthālaṃkāra)으로 양분되는데, 그중 ‘소리에 의한 수사법’은 아누프라사(anuprāsa)와 야마카(yamaka) 두 종류로 세분된다. 이는 음운의 반복적 사용, 동음이의어나 구절의 반복을 통하여 깊이 있는 시감(詩感)을 이루어내는 역할을 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먼저 카브야(kāvya)에서 다루는 다양한 주제 가운데서도 알람카라, 즉 수사법에 비중을 두었던 알람카라 학파에서 바마하의 위치에 대해 짚어보고, 그의 저작인 KĀ의 구성을 분석하여 각 주제별로 제시하였다. 또한 게송 연구의 예비적 고찰로서 2장 초반부를 중심으로 설명되어 있는 ‘소리에 의한 수사법’의 종류와 더불어 제시되어 있는 실례들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알아보았다. 이를 통하여 문헌 연구의 한 방법으로서 수사법 연구에 활기를 돋울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518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A Study on India Nāsik Cave Temple. 김선희 - 2017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49 (49):347-400.
A Study on ≪shu≫ quotation of the ≪XunZi≫. 이은호 - 2016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85 (85):69-98.
A Content Analysis of Research on Unification Education. 박성춘 - 2012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84):275-308.
象山學의 學問的 淵源과 心卽理에 관한 硏究. 염호택 - 2009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53 (53):423-445.

Analytics

Added to PP
2023-02-28

Downloads
6 (#1,702,752)

6 months
3 (#1,491,886)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