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thropocene, Climate Change, and the Challenge of Ethics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6:201-224 (2024)
  Copy   BIBTEX

Abstract

이 글은 먼저, ‘인류세’(Anthropocene)의 의미를 철학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기후변 화의 구조적 및 체계적 원인을 이해하는 데 집중한다. 다음으로, 인류세와 탄소 문명의 결 과로 나타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윤리학의 과제를 제시한다. 이른바 ‘기후윤리 학’(Climate Ethics)의 주된 과제는 무엇보다 기후변화와 기후변화 완화 의무에 대한 회의 주의를 논박하는 것과 기존에 견지해온 우리의 윤리적 의식의 전환을 요청하는 것이다. 특히 기존의 윤리관은 현재 우리 곁에 살아있는 사람들 간의 관계에 배타적으로 치중해 있었 다. 그러나 기후변화 시대에 옳고 그름의 문제는 지금 현재 살아있는 인류와만 관계하는 게 아니라 미래 세대와도 관련된 문제, 즉 ‘세대 간 정의’(Intergenerational Justice)의 문 제로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그것은 민족 국가 단위의 공동체 내부의 이익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초국가적 단위에서, 즉 전지구적 차원에서 국제협약을 통해 대응전 략과 ‘공동의 차별화된 책임원칙’을 마련해야 하는 ‘전지구적 정의’(International Justice) 의 문제로 간주되어야 한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139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Anthropocene and Sustainable Survive. 신진환, 김진선 & 홍용희 - 2019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124):159-180.
Frege and Hilbert on Implicit Definitions. 박준용 - 2017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18:111-141.
Amartya Sen’s Global Justice - Beyond Rawlsian Institutionism. 목광수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4:171-196.
A Defense of Okin’s “Humanist Justice”. 김은희 - 2024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58:175-205.
Is Descartes’ moral par provision ‘provisional?’. 이재환 - 2016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15:381-417.

Analytics

Added to PP
2024-05-23

Downloads
17 (#1,153,842)

6 months
10 (#413,587)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