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개념의 구조에 관한 이론-이론의 입장이 ‘애완’-개념과 ‘물고기’-개념을 조합하는 문제에 적절한 해법이 될 수 없음을 보이는 것이다.BR 이론-이론은 개념화와 과학의 이론화, 개념과 과학의 이론 용어가 유사하다는 입장이다. 그에 따르면, 개념은 그것에 관한 이론 내의 다른 개념과 연관됨으로써 이론적인 구조를 갖는다. 개념이 이론적인 구조를 갖는다는 것은 개념이 그에 관한 이론에 의해서 의미가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개념은 그것에 관한 이론 내의 다른 개념들과 연결되고, 다른 개념은 관련 이론 내에서 그 의미가 결정됨으로써 또 다른 개념과 관련될 것이며, 이는 개념 체계 전체에 있는 개념에로 퍼져간다. 이 점에서 이론-이론은 개념 전체론을 전제한다.BR 그런데 개념 전체론은 개념의 제한적 연결만을 허용하는 개념의 조합적 성격과 양립할 수 없다. 개념의 조합성에 따르면, ‘애완 물고기’-개념의 의미는 ‘애완’-개념의 의미와 ‘물고기’-개념의 의미에 의해서 결정되어야 한다. 하지만 개념 전체론의 방식으로 의미를 결정할 경우, ‘애완 물고기’-개념의 의미는 ‘애완’-개념의 의미와 ‘물고기’-개념의 의미에 의해서 결정되지 않는, 이를 테면, ‘화려한 색깔을 지님, 어항에 서식함’ 과 같은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BR 이러한 ‘애완’-개념과 ‘물고기’-개념을 조합하는 문제에 관해 이론-이론은 그것이 참조하는 이론의 성격을 분명히 함으로써, 또는 구성요소 개념의 의미 유사성에 호소함으로써 해법을 제시할 수 있다. 하지만 그러한 전략은 개념의 의미를 결정하는 이론의 범위를 확정할 수 없어서, 그리고 애완 물고기끼리 서로 유사한 점은 애완동물끼리 유사한 점과 물고기끼리 유사한 점의 총합을 통해 도출할 수 없어서 성공적이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