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교양교육은 전인적인 인간의 육성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교양교육은 지식 습득과 감성 증진을 위한 기본적인 전제조건이자 민주주의에 걸맞은 품성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하며, 엘리트가 아니라 대중을 대상으로 한다. 예술교육은 교양교육의 목표를 여타의 다른 종류의 교육보다 더 잘 도달할 수 있는데, 이를 우리는 실러와 헤겔의 예술교육 개념으로 부터 배울 수 있다.BR 실러는 예술교육이 인간에게 전문적인 지식을 제공하지는 않지만, 인간의 능력 일반을 길러준다고 주장한다. 예술향유를 통해 우리는 유희충동의 상태에 빠지게 되는데, 이 속에서 우리는 감각충동과 형식충동의 균형 상태를 경험하게 된다. 우리는 예술작품이 제공하는 일정한 내용을 수용한다. 하지만 예술작품의 향유로 인한 유희 속에서 우리는 이러한 내용으로부터 스스로 자유롭게 되는 것을 경험하게 된다.BR 헤겔은 예술교육의 중요성을 인정한다는 점에서 실러에 동의하지만, 실러와 반대로 예술교육을 단순히 형식적인 의미에서만 규정하지 않는다. 실러는 예술 향유가 감성과 이성의 상호작용을 일으킨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를 통해 예술 향유가 전인적인 인간 육성에 기여하고, 인간을 “인류의 대표”로 교육시킨다. 이는 예술이 무엇을 표현하든지 간에 그 형식 자체가 이러한 감성과 이성의 균형을 표현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실러의 예술교육에 대한 생각에는 예술이 표현하는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반성이 빠져 있다.BR 헤겔은 한편으로는 예술교육이라는 형식 자체가 가지는 긍정적 의미를 받아들이면서도 이를 추상적, 형식적이라고 비판하면서, 다른 한편으로 예술이 제공하는 내용 및 그와 연계되어 있는 예술의 역사성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헤겔은 ‘대중을 위한 예술작품’ 개념을 통해 예술향유가 예술연구와 동반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박물관 건립 논쟁에서 헤겔은 향유와 연구가 박물관의 목적이라는 입장을 대변한다. 먼저 예술교육은 전문적인 부분에 매몰되어 있는 인간을 해방시킨다. 인간은 전문화된 현대 사회에서 특정한 기능을 담당하기 위해 자신의 전체적인 능력보다는 특수한 능력만을 발휘하게 된다. 예술은 특수한 능력만이 아니라 인간의 전체적 능력을 활성화시킨다. 두 번째로 예술은 인간에게 자신이 속한 사회의 공동체적 자기이해를 제공한다. 이러한 이해를 통해 인간은 개별자로서의 자신의 편협함에서 벗어나 사회적인 교류에 나서게 된다. 세 번째로 예술은 인간을 세계 시민으로 교육시킨다. 예술교육이 주는 이런 효과는 예술교육이야말로 교양교육이 추구하는 목적을 가장 잘 도달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