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ructure of Evolvement of Consciousness and Its Significance as Seen from Vasubandhu’s Theory of Vijñāna-Pariṇāma with a Special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bhūtaparikalpa and Svasaṃvedana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52 (52):49-74 (2018)
  Copy   BIBTEX

Abstract

이 논문은 『중변분별론』에서 삼성설의 사상적 기반이 되고 있는 허망분별(abhūtaparikalpa)과 이취의 관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유식사상사에서 삼성의 구조 가운데 의타기성과 관련한 식의 분화 과정에 보이는 그 사상적 변천과정을 조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중변분별론』의 게송 1.1과 1.3에 보이는 ‘허망분별’과 ‘이취’의 사상구조에 보이는 이해방식을 세친과 안혜의 견해를 통해서 검토한다. 이를 토대로 유식사상의 인식론적 구조에 보이는 허망분별과 자기인식의 문제를 검토한다. 한편 『중변분별론』의 ‘허망분별’과 세친의 ‘식전변설(識轉變說)’의 구조적 관계를 검토한다. 이를 토대로 안혜의 일분설(一分說)이나 호법의 사분설(四分說) 등과 관련하여 식이 구조적으로 분화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아울러 이와 관련한 우에다 요시후미(上田義文)와 나가오 가진(長尾雅人)의 삼성과 이취의 관계를 둘러싼 두 논쟁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유식사상사에서 허망분별과 이취, 그리고 식전변설의 구조적 관계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유식의 구조와 식의 분화 과정에 보이는 그 사상적 변천과정과 자기인식의 문제를 조명한 것이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0,888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A structural feature of the Trisvabhāva Theory in the Madhyāntavibhāga. 김재권 - 2008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25 (25):101-119.
「經說」을 통해 본 眉叟 許穆의 禮樂論. 선우미정 - 2019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99 (99):7-32.

Analytics

Added to PP
2023-02-28

Downloads
11 (#1,417,674)

6 months
5 (#1,038,502)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