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heory of Chen tuan's Internal Alchemy and Intermixture of Taoism, Buddhism and Neo-Confucianism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31 (31):53-86 (2011)
  Copy   BIBTEX

Abstract

진단은 도교 내단이론의 정립자이며, 북송 이래 사상계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남긴 인물이다. 그는 다른 종교의 장점을 자신의 이론체계에 받아들이고 있음을 분명히 선언하고 있다. 그는 도교 수련과정의 논리적 부족함을 메우기 위해 유교의 易學을 도교 秘傳의 역학으로 대치하고, 육신과 정신의 이중구조를 통합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선불교의 마음수행법을 자신의 체계 속으로 끌어들였다. 진단의 내단이론은 精氣神의 개념에 기반하여 ‘연정화기’ ‘연기화신’ ‘연신환허’의 단계로 수련하는 도식이다. 진단이 말하는 내단수련이란, ‘도교 방식으로 해석한 『주역』의 근본원리에 바탕을 두고서 마음을 고요하게 하는 禪의 수행으로부터 시작하여, 그 고요함의 끝에서 온갖 변화에 신묘하게 통할 수 있고 지혜가 충만한 상태에 이르게 되면, 미묘한 精의 흐름을 간취하여 이것을 기로 변화시키는 과정을 거쳐서 결국 복귀무극의 상태로 돌아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그는 「무극도」를 그려서 표현했다. 동양철학은 인간을 ‘현상적 존재’와 ‘본원적 존재’로 구분한다. 이러한 ‘존재 규정’으로부터 수도론의 논리가 성립된다. ‘자아’ 또는 ‘자기’라는 개념을 어떻게 규정하느냐에 따라서 ‘현상적 존재’로부터 ‘본원적 존재’로의 회귀 내지는 도약 방법이 결정된다. 도교 내단이론의 정립자라 할 수 있는 진단은 이런 측면에서 독특한 내단수련론과 삼교회통론의 체계를 확립한 인물이다. 오늘날은 ‘자아상실의 시대’ 또는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생기는 ‘난치병의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자아의 회복과 건강한 삶을 위해서 몸과 마음을 연결짓는 진단의 수련론에 대한 검토와, 여기에 기초한 새로운 수련법의 모색은 여전히 의미 있는 일이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0,865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The Succession and Method of Internal Alchemy of Five-Masters in Southern School Taoism. 김경수 - 2013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39 (39):143-168.
Mencius s Moral Leadership and Desirable Leader. 민황기 - 2020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3:131-160.
Nammyeong Jo-Sik's Practical Social Reformism. 이미림 - 2013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39 (39):29-52.
Xunzi’s Theory of Justice and Utility and Economic Ethics. 박영진 - 2011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82):339-366.
Confucius’s thought of Ren and recovery of empathy ability. 박승현 - 2017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84 (84):45-64.
The Xinxue of Zhen Dexiu : especially on the birth of the concept of Xinxue. 윤상수 - 2017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48 (48):39-67.

Analytics

Added to PP
2023-02-28

Downloads
8 (#1,577,832)

6 months
4 (#1,246,333)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