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ults for '지눌(知訥, 1158-1210)'

7 found
Order:
  1.  12
    The Journey of The Mind: Zen Meditation and Contemplative Prayer in the Korean Buddhist and Franciscan Traditions; with Special Reference to "Secrets on Cultivating the Mind" (修心訣 수심결, su shim gyol ) by Pojo Chinul (知訥, 11581210) and "The Journey of the Mind into God" ( itinerarium mentis in deum ) by Bonaventure of Bagnoregio (1217–1274). [REVIEW]S. S. F. Nicholas Alan Worssam - 2023 - Buddhist-Christian Studies 43 (1):3-32.
    abstract: This essay explores the parallels in the life and teaching of the Korean Zen master Pojo Chinul (11581210) and the Franciscan saint and theologian Bonaventure of Bagnoregio (ca. 1217–1274). Living during the same thirteenth century but on opposite sides of the world, both men committed their lives to reforming the religious life and to attaining the experience of awakening in their respective traditions. To this end, both encouraged the study of their foundational texts, together with the earnest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4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Korean Zen Buddhism: the integration of sŏn and kyo by Chinul (1158-1210).Chae-Ryong Sim - 1981 - Sŏul: Tʻaehaksa.
  3.  14
    Revisiting ‘Understanding-Awakening’ and ‘Realization-Awakening’ of Chinul’s Soteriological System. 이수미 - 2023 - CHUL HAK SA SANG -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 89 (89):183-215.
    1981년 돈오돈수(頓悟頓修)를 표방한 조계종 종정 성철(性徹, 1912-1993)이 보조지눌(普照知訥, 1158-1210)의 돈오점수(頓悟漸修) 사상을 비판한 이래 진행된 돈점논쟁(頓漸論諍) 속에서 지눌 선(禪) 사상은 다각도로 고찰되어 왔다. 이 논쟁의 주요 초점 중 하나는 지눌의 돈오점수론이 그가 만년에 강조한 간화선(看話禪)과 사상적 연결성을 지닐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돈오점수는 불교의 이론적 가르침[敎]에 대한 지적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해오(解悟)와 연결된 수행법인 반면, 간화선은 지적 이해[知解]를 완전히 떠나 증오(證悟)로 이어진다고 여겨지는 수행법이기 때문이다. 돈오돈수를 지지하는 측에서는 깨달음에 있어서 지적 요소를 강하게 부정하면서 돈오점수와 간화선의 연결성을 인정하지 않았고, 지눌이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33
    The Possible Consensus between Jinul and Seongchol on the Process of Awakening.Jei-Dong Ryu - 2008 - Proceedings of the Xxii World Congress of Philosophy 6:223-228.
    Jinul (1158-1210)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cholar monks in Korean history. His view on the awakening in Zen Buddhism, called 'sudden awakening and gradual practice,' has recently been criticized by Seongcheol (1912-1993), one of the representative monks in Modern Korea. Seongcheol's criticism isbased upon the fact that Jinul's argument on sudden awakening and gradual practice cannot be allowed in authentic Zen Buddhism according to his own observation. Instead, Seongcheol argues that real awakening need no further practice.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14
    Pojo Chinul’s Influence on Chosŏn Buddhism. 김용태 - 2023 - CHUL HAK SA SANG -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 89 (89):153-181.
    보조 지눌(普照知訥, 11581210)은 한국의 선(禪)을 대표하는 선승이다. 이 글에서는 조선 불교에 미친 보조의 유풍(遺風)을 ‘진화와 확산’의 관점에서 접근해 보았다. 먼저 조선시대 송광사(松廣寺)의 역사와 전통 인식에 나타난 보조 계승의식을 검토했는데, 조선 초의 수선사(修禪社) 작법 회복 주장, 송광사 중창과 16국사 현창, 지눌 저술의 간행과 부휴계(浮休系)의 보조 유풍 선양 등을 다루었다. 이어 조선 전기 고승들의 선의 기풍과 그 안에 보이는 보조 사상의 단편을 추적해 보았다. 선과 교에 모두 정통했던 함허 기화(涵虛己和, 1376∼1433)는 ‘돈오점수(頓悟漸修)’를 중시했다는 점에서, 대혜 종고(大慧宗杲)와 고봉 원묘(高峰原妙)의 간화선(看話禪)을 계승하려 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6.  15
    Why Chinul? - Reminiscences on A Lifetime of Studying Korea’s Preeminent Buddhist Thinker -.로버트 버스웰 & 이수미 - 2023 - CHUL HAK SA SANG -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 89 (89):3-28.
    지눌은 선(禪) 사상 및 실천에 대한 자신의 개인적 관심과 불교 경전 문헌에 대한 깊은 연구를 완벽하게 결합시킨 통합적 사상가로 잘 알려져 있다. 이 강연에서 본인은 지난 50년 동안 지눌의 저술을 연구하면서 가졌던 지눌에 대한 나 자신의 개인적 친밀감, 그리고 한국 불교의 주류 전통에서 지눌이 지니고 있는 지속적 영향력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 한다. 특히, 교(敎)와 선(禪)의 공생적 관계에 대한 지눌의 통찰력이 학자이자 종교인으로서 본 강연자가 오랫동안 지녔던 문제, 즉 경전 연구와 불교 수행의 관계가 어떠한 것인가라는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서 어떻게 도움이 되었나에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7. The key operative concepts in korean buddhist syncretic philosophy: Interpenetration 通達) and essence-function 體用) in wŏnhyo, Chinul and kihwa.Charles Muller - manuscript
    Korean Buddhism is distinctive within the broader field of East Asian Buddhism for the pronounced degree of its syncretic discourse. Korean Buddhist monks throughout history have demonstrated a marked tendency in their essays and commentaries to focus on the solution of disagreements between various sects within Buddhism, or on conflicts between Buddhism and other religions. While a strong ecumenical tendency is noticeable in the writings of dozens of Korean monks, among the most prominent in regard to their exposition of syncretic (...)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