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순자 악론은 어떤 예술론으로 해석될 수 있는가? 필자는 순자악론에 대해 카간(Kagan) 의 예술해석론을 위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중국현대학자의 순자 악론을 설명 하는데, 이 때 카간이나 서구 예술 이론과 연계되는 점이 있다면 그 지점을 밝히도록 하였 다. 카간에 의하면 예술은 인간 활동 중 사회적 분업 속에서 여타의 활동 형식들의 대역자 (代役者)로서 발전해왔다. 통치 권력을 지닌 집단이 자신이 의도하는 가치를 전사회적인 보편적 가치로서 내재화시키려 할 때 예술의 역할은 부각된다. 예술은 인간 행동에 동력을 부여하는 감성과 욕망구조에 직접적 영향을 주어서, 자발적인 사회적 동의를 이끌어 낼 수 있다. 이 때, 예술은 단순히 관조적인 즐거움을 주는 활동 이상의 의미를 가지게 된다. 고 대 중국 악론에서는 여가를 활용하는 즐거움으로서 예술의 존재이유를 보지 않았다는 실례 가 확인되고, 이것은 순자 악론에서도 드러난다. 예술이 인간 행동에 끼치는 영향력을 충분 히 인식한 순자는 음악 예술의 도덕적 교화 기능을 강조한다. 예술은 실체적인 존재에 대한 재해석으로, 개념에 의존한 것이 아니라 직관적인 것에 의존하며, 사상을 매체로 하는 것이 아니라 감성적인 형태를 매체로 한다. 음악예술을 응용해 사람들의 자연적 감정을 자연스 럽게 인도한다면, 인간 감정은 이성과 사회 도덕 규범에 부합되는 사회적인 감정으로 변화 된다. 그리고 제왕학적 구도를 고려하고, 감정의 표현과 치유로서 악론의 기능을 설명하는 것은 순자 악론의 특성이기도 하다. 중국의 순자 연구자가 분석한 순자 악론에서 역시 이런 해석이 가능하다. 순자 악론의 이런 성격은 이후 『禮記』 「樂記」 편에서 계승된다. 순자 악론은 유가의 예술이론을 정교화한 최초의 유가악론서로서, 이를 통해 유가의 전형적 예 술 역할론은 구체적으로 가시화되었다. 그리고 순자 악론은 현대 미학자 카간(Kagan)을 위시한 서구적 예술론의 틀 안에서도 충분히 일관되게 설명되는 예술이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