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Mode of Definition in the Cognitive Theory of Emotion Based on Rhetoric 2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15:325-346 (2016)
  Copy   BIBTEX

Abstract

본 논문은 『수사학』 2권에 나타난 감정에 관한 정의(definition)가 가지는 역할과 양상에 관한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는 파토스적 설득의 실현 기반이 되는 감정의 인지성의 측면에서 진행되었다. 감정에 있어서의 인지주의는 감정을 감정으로 만드는 ‘본질적 요소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믿음(belief)이나 판단(judgement) 등의 사고적인 부분, 즉 인지적 요소로 답하는 것이다. 때문에 어떠한 사실에 대하여 가지게 되는 판단과 믿음이라는 사고의 영역은 느낌과 욕구보다 더 근본적이며, 판단과 믿음의 차이는 서로 다른 감정의 차이를 구별하는 기준이 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수사학』 2권에서 성격(ēthos), 감정(pathos), 논증(logos)을 통해 상대방을 설득하는 것을 목표로 연설 상황에서 일으켜야 할 감정들을 분석하고 있다. 그의 분석은 인지주의적 입장을 피력하는 것에 초점을 두지는 않았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의 감정에 대한 정의(definition) 부분은 그의 인지주의적 입장을 2가지 양상으로 분명히 드러내고 있다. 첫째는 원인 · 이유를 보여주는 양상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감정에 대한 정의에서 각 감정들이 일어나는 ‘원인 · 이유’를 명시하거나 유추 가능하도록 서술함으로써 각 감정들의 인지적 요소를 상정하고 있다. 둘째는 감정을 개별화하는 양상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의는 감정의 ‘본질’을 규정함으로써 감정들 사이의 차이를 드러내고, 각 감정들을 개별화하게 된다. 결국 그의 정의는 감정의 인지성을 바탕으로 현대 연구자들이 문제시되는 감정의 본질을 검토하며, 각 감정들을 개별화하도록 하는 기초가 되었다. 결론적으로 감정에 대한 정의는 원인 · 이유를 보여주며, 감정을 개별화하는 2가지 양상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인지주의적 견해를 입증하고 있는 것이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459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Die Leibphilosophie und die feministische Philosophische Beratung. 홍경자 - 2009 - Korean Feminist Philosophy 12 (null):91-116.
Hegel’s Concept of Emotion. 조창오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4:353-375.
Aristotle on Emotions in Rhetoric II 1-11 : Intentional and Representational. 한석환 - 2017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1:21-46.
Nietzsche’s Thought about Emotions and Healthy Life. 권의섭 - 2021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4:33-58.
Emotion and Publicness. 이상형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8:45-65.
Memorial Museum as an Emotive Paradox - Pursuing Connectivity through Disconnection -. 차지민 - 2020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9:317-333.
The Importance of emotion in feminist culture. 현남숙 - 2007 - Korean Feminist Philosophy 7 (7):189-213.
Feminist philosophical counseling on the problem of emotions. 김선희 - 2013 - Korean Feminist Philosophy 19 (null):5-33.
St. Augustine's Legal Thought-Focusing on the Principle of Love. 김연미 - 2018 - Korean Journal of Legal Philosophy 21 (1):167-212.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1

Downloads
11 (#1,428,354)

6 months
7 (#740,041)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