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Re-examination on the Middle Way Conception of Vijñānavāda: Centering on the Madhyantavibhagabhasya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50 (50):303-336 (2017)
  Copy   BIBTEX

Abstract

중관학파와 유식학파는 대승불교의 중심 학파들이지만, 그 두 학파의 중도 개념은 동일하지 않다. 왜냐하면 용수(龍樹)는 중도를 비유비무(非有非無)라고 설명하면서, 공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지만, 『중변분별론』은 중도를 비공비불공(非空非不空)이라고 설명하면서, 공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여기서 ‘유식학파가 용수의 중도 개념을 부정하고, 새로운 중도를 주장하게 되었던 동기는 무엇인가?’라는 의문이 제기된다. 그러므로 논자는 본 연구에서 유식학파 중도 개념의 특징과 의미 등에 대한 재검토를 통하여 유식학파 중도 개념의 동기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유식학파의 중도 개념은 허망분별의 존재성 승인, 공성의 존재성 승인, 소취-능취의 존재성 부정이라는 세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그 내용은 모두 부파불교의 법유설과 중관학파의 법공설에 대한 비판인 동시에, 기존의 불교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새로운 불교 사상이다. 이로부터 유식학파의 중도 개념은 ①부파불교의 법유설 비판, ②중관학파의 법공설 비판, ③유식이라는 새로운 불교 사상의 확립을 의미함을 알 수 있다. 유식학파의 발생 동기는 중도 개념의 의미와 마찬가지로 ①부파불교의 법유설 비판, ②중관학파의 법공설 비판, 그리고 ③유식관의 선정 체험에 근거한 새로운 불교 사상의 확립으로 요약된다. 왜냐하면 유식학파는 유가사(瑜伽師)들의 선정 체험을 바탕으로 해서 형성된 학파로서, 『해심밀경』이나 『유가사지론』 등의 최초기 경론에 이미 부파불교의 법유설과 중관학파의 법공설에 대한 비판의 문구들이 발견되기 때문이다. 유식학파의 중도 개념을 구성하는 세 항목의 동기를 살펴보면, 유식학파 중도 개념의 동기는 유식학파의 발생 동기와 동일함을 알 수 있다. 요컨대 유식학파의 ‘비공비불공’ 중도 개념은 부파불교의 법유론과 중관학파의 법공설을 비판하고, 윤회, 해탈, 공성 등 불교의 핵심 개념들을 유식관의 선정 체험에 따라 설명함으로써, 자신들의 유식 사상을 새로운 대승불교로 확립하기 위한 개념 틀이었던 것이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270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The Debate of Yogācāra and Madhyamaka on Self-cognition. 김성옥 - 2013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39 (39):235-264.
Empty concept in Early Buddhism: Focusing on mental training. 박재은 - 2018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52 (52):209-243.
A Study of Nietzsche’s Concept of Time. 남재민 - 2023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5:83-102.
Milieu chez Deleuze, comme milieu philosophique. 정순백 - 2019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25:7-30.
Theory-Theory and Compositionality Problem. 조영아 - 2016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5:391-418.
A Study on Middle-Path Structure in Sati and Samādhi. 김범진 - 2012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35 (35):29-72.
불교철학에서 내재와 초월(비교철학적 고찰). 조윤호 - 2013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70 (70):211-236.

Analytics

Added to PP
2023-02-28

Downloads
6 (#1,698,613)

6 months
4 (#1,260,583)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