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earch for the Method of Multi-Culture Education on the based Confucianism Principle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78):33-60 (2010)
  Copy   BIBTEX

Abstract

이 글은 현재 교육담론의 중심이 되고 있는 다문화교육을 성찰하고, 우리 사회의 특수성을 이루는 유교의 본질과 원리를 바탕으로 다문화교육의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오늘날 다문화상황은 교육 목표와 내용까지 변화시킬 만큼 핵심적이며, 1990년대 이후 다문화교육은 이러한 사회변화를 반영한 결과이다. 현재의 다문화교육은 다문화상황을 경험한 서양이론을 바탕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것은 실제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한국은 유교문화 속에서 강한 단일민족의식을 바탕으로 한다는 점에서 한국적 특수성을 염두에 두고 다문화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여기서는 유교의 본질과 교육의 원리 세 가지-대동사회(大同社會: 더불어 사는 원리), 수기치인(修己治人: 성찰과 배려의 원리), 성․경(誠․敬: 성실과 공경의 원리)-에 주목하고, 이 원리를 바탕으로 한국의 다문화상황의 문제점과 연결시켜 교육 방안을 탐색해 보았다. 결론에서는 한국적 상황에서 다문화교육을 위한 도덕교육의 방향을 살펴보았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0,865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Nammyeong Jo Sik’s Practical Ethics : Focussed on Memorials to the King. 장승희 - 2012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87):235-265.
Nammyeong Jo-Sik's Practical Social Reformism. 이미림 - 2013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39 (39):29-52.
A Study on Jung-am Cho Kwang-Jo's View on Self-cultivation. 강보승 - 2017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55 (55):69-96.
A Prospect of Peace Community with a focus on East-Asian Religious Culture. 이서행 - 2011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83):1-20.

Analytics

Added to PP
2016-06-30

Downloads
15 (#1,231,106)

6 months
5 (#1,037,427)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