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Discourse of Confucianism on the Character Education in order to Realize the Dignified Society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62 (62):301-332 (2010)
  Copy   BIBTEX

Abstract

이 글은, 유교인성교육을 성찰하고 오늘날의 시대적⋅사회적 요구를 반영하여, ‘품격 있는 사회’를 위한 유교의 인성교육 방향을 제시한 하나의 유교담론이다. 유교자본주의를 중심으로 한 기존 유교담론은 그 장점에도 불구하고 유교 본질에서 벗어난 측면이 있다. 유교의 본질이 인간됨을 위한 학문과 교육임을 염두에 둘 때, 유교담론은 인성교육담론이 되어야 한다. 전통유교교육은 최대 도덕성 추구라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시대적⋅방법적으로 한계를 지녔으며, 따라서 오늘날 급변하는 사회 변화에 부응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유교인성교육의 특성⋅본질⋅한계를 살펴보았다. 도래할 미래사회에서 인류가 고도로 발달된 과학기술에 속박되지 않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인간 주체성 회복’이 요구되는데, 이는 유교교육의 내용에서 그 핵심을 찾아볼 수 있다. 한국은 물질주의와 경쟁 위주의 사회 분위기로 대표되는 압축 근대화를 거치며 유교가 중시했던 본질적 삶의 가치, 인간의 지켜야 할 기본적인 품위와 품격에서 멀어지고 말았다. 한국 사회는 이제 경제적으로 선진국 대열에 도달하여 세계 여러 국가들을 배려해야 할 입장에 있다. 나아가 삶의 질과 인생의 가치를 추구하며 ‘품격 있는 사회’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품격 있는 사회’ 실현을 위한 유교인성교육의 방안을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품격의 바탕이 되는 ‘선비정신’은 정신적 가치의 기반이며, ‘나눔문화’는 약자에 대한 배려와 富의 나눔을 강조한 것이다. 둘째, ‘일상적 창의성’은 보통사람들의 삶 속에서 ‘인성’과 ‘창의성’을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다. 셋째, ‘격대교육’을 중심으로 한 가정교육의 정립은 오늘날 인성교육의 장으로서 가정교육의 역할 재정립이라는 점에서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 글의 거시적 담론이 차후 제반 방안에 대한 논의들로 구체화됨으로써 ‘품격 있는 사회’ 실현을 위한 기초가 되기를 기대한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0,888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An approach of Eastern philosophy in relation to modern society and good labor. 김희 - 2014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71 (71):201-222.
Personality Educational Implication of Toigye’s Thought. 이현지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1:313-331.
A Study of the Public Values of Elderly Care and Discourse Ethics in the Aged Society. 김진경 - 2023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13:129-145.
Choson Confucianism in American Academy. 성동권 - 2009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57 (57):411-459.
Yuhak, sidae wa t'onghada.Kyo-bin Kim (ed.) - 2012 - Sŏul-si: Chaŭm kwa Moŭm.
기독교 세계관과 주자학의 비교를 통해서 본 유교와 기독교의 만남. 성현창 - 2009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54 (54):255-274.
Meaning and Direction of Value Education in College. 이원봉 - 2016 - The Catholic Philosophy 26:85-110.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1

Downloads
15 (#1,232,057)

6 months
6 (#856,140)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