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무관심성 미학은 피타고라스이래 칸트와 현대의 미적 태도론에 이르기까지 조금씩 다른 변형을 거치며 하나의 흐름을 형성해왔다. 주류 혹은 정통의 철학과 미학은 이러한 미적 무관심성이라는 미적 태도가 인류 보편적이며 중립적이고 표준적인 미적 태도임을 주장해왔다. 이 글은 시각의 중립성에 대한 여성주의적 반론으로서, 무관심성미학이 시각중심주의를 전제하고 있으며 동시에 이 시각중심주의는 또한 남성편향적임을 폭로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시각은 우리가 보는 대로 즉각적인 지식을 주는 중립적인 감각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기호학적인 과정과 인지학, 생리학, 정신물리학 등의 현대과학을 통해 보면 인간의 시각은 무관심성이지 않다. 이들 현대과학에 따르면, 우리의 눈(시각)은 중립적이거나 무차별적으로 눈앞의 장면을 모두 보는 것이 아니다. 그러려면 정보의 과다로 뇌가 이들 정보들을 처리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의 눈은 우리가 가지고 있는 목표나 가치관, 세계관, 관심사에 따라 눈앞의 대상들 중에서 선택적 주의집중을 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눈앞의 대상 중 관심있는 것만을 선택해 보는 것이다. 근대계몽주의 시기까지 남성의 눈은 남성들의 독서나 글쓰기와 같은 라이프스타일에서 오는 활동에 따라 그 주의집중대상이 육아와 가사들에 몰두했던 여성들의 그것과 다르다. 이에 따라 동일한 장면을 볼 때 남성들이 시각을 통해 주의집중하는 대상들은 여성들의 그것과 확연하게 다르다. 즉 대상에 대한 육체적인 욕망이나 욕구에서 벗어난 대상의 조화와 비례에 대한 관조가 무관심적 미적 태도라고 할 때, 이것은 분명 서구 상류층 남성들이 자신들의 라이프스타일에서 나온 하나의 훈련된 관심방식으로 시각을 주의집중한 결과라는 것이다. 이렇게 이 글은 미적 무관심성을 미적 이상이나 표준처럼 공론화하면서 여성의 시각과 관점을 배제해 온 주류의 미적 무관심성 미학이 지닌 시각중심주의와, 그 시각의 남성편향성을 비판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