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Yulgok’s Determination (立志) Theory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22:135-169 (2018)
  Copy   BIBTEX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율곡의 ‘학문’관을 바탕으로 하여 ‘입지’론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여기에서 율곡이 ‘학문’을 단순히 지식을 추구하고 쌓아 나아가는 것이 아니라, 사람세상의 일원으로 참여하며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사람 됨됨이를 갖추게 하는 것이라고 함을 논하였다. 이렇게 보면, 율곡에게서 학문 · 배움은 사(私)의 영역에 있는 것이 아니라 공(公)의 차원에 설정되어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율곡이 ‘입지’의 네 절목으로서 들고 있는 ‘횡거사구(橫渠四句)’를 통해 확인하였다. 같은 맥락에서 송유(宋儒)들에게서 비롯된 ‘희성(希聖)’관이 율곡의 ‘입지’론의 근거임을 밝혔고 율곡이 말하는 공부(工夫)의 요체에 대해서도 논했다. 이렇게 함으로써 필자는 율곡 ‘입지’론의 논리적 근거를 확실히 하고 그 실현가능성을 담보하였다고 본다.BR 나아가 필자가 본 논문에서 한국병의 하나로서 지목한 ‘사교육의 만연’에 ‘입신양명(立身揚名)’이라는 이념[ideology]이 병인(病因)으로서 자리 잡고 있음을 밝혔다. 한국인들이 이를 위해 매진하다보니 사교육에 의존하게 되는데, 이 사교육이 한국인들을 평생에 걸쳐 옭죄는 족쇄로서 작용하고, 그 결과 한국인들이 행복할 수 없는 삶으로 점철함을 논하였다.BR 필자는 여기에서 이 ‘입신양명’이 우리 국가공동체의 구성원들로 하여금 철저하게 사(私)의 차원에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데 특성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따라서 학문과 배움을 공(公)의 차원에 설정하고 있는 율곡의 ‘입지’론이 그 대척점에 있는 것으로서, 이념으로서의 ‘입신양명’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임을 논하였다. 필자는 율곡의 이러한 ‘입지’론에서라면 사교육이 싹틀 수 있는 여지자체가 없으며, 그 토양 자체가 원천적으로 배제되어 있음을 이러한 근거에서 논하였다. 아울러 그의 ‘입지’론과 궤를 같이하는 ‘군자’론이, ‘입신양명’에서 배제된 삶을 사는 사람들에게 열패감을 주지 않고 오히려 행복으로 이끌 수 있는 것임을 논의하였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459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Crisis Management Philosophy of the Zhouyi 周易. 안승우 - 2020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3:323-358.
程頤의 정치참여의식에서 도덕의 위상 -- 『程氏易傳』을 중심으로. 주광호 - 2009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32 (32):291-316.
A Study of Wang Fu-Zhi's Criticism on Laozi Philosophy and Its Meaning. 김진근 - 2016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46 (46):157-192.
The ecological implication in Mencius' human relationship theory. 이상호 - 2007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51 (51):93-124.
The Problem of Lying in Kant’s Ethics. 이두연 - 2024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17:165-183.
Analyzing “Correct Naming(正名)” from the logic of Xun Zi. 김정희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9:221-238.
A Study on the Meaning of Yulgok’s Cultural Enlightenment through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김희 - 2016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82 (82):125-144.
An Analytical Study on John Locke's View of Nature. 김일방 - 2017 - Environmental Philosophy 24 (24):155-182.
Postdemos : Possibility of a New Political Subject. 박성진, 김현주, 윤비 & 김동일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0:23-47.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1

Downloads
7 (#1,644,695)

6 months
3 (#1,486,845)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