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erience, Recollection and Description of the First Meditation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23 (23):117-146 (2007)
  Copy   BIBTEX

Abstract

붇다의 일대기에 대한 전승을 전하는 문헌들에서 특징적인 점은 붇다의 유년시절에 대한 서술에서 불교사적으로 의미가 큰 두 사건들, 즉 “사문유관”(四門遊觀)이라고 불리는 사건과 “초선”(初禪 prathama dhynam)이라는 사건이 결합되고 유기적인 일체가 되어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특히 초선에 대한 전승들이 보여주는 내용의 편차는 아주 크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초선이라는 사건과 사문유관의 사건이 그 발생사적인 출발점에서 근본적인 차이를 가지고 있음을 밝힌다. 즉 사문유관은 설화적인 요소가 강한 반면, 초선에 대한 서술은 설화적이라기보다는 역사적인 사건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Majjhimanikya에 나타난 것과 같은 ‘초선의 회상’이라는 경험이 갖는 구조적인 이중성에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구조적인 정확한 이해가 전제되어야만 후대 여러 불교문헌들에 나타나는 초선의 경험에 대한 판연하게 다른 서술들이 모두 연관된 역사적인 흐름 안에 놓여 있으며, 시대와 전통에 따른 붇다에 대한 이해 그리고 해탈에 대한 이해의 변화를 나타내는 것들임을 이해할 수 있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139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The Time of Woman and the Time of Aion. 연효숙 - 2015 - Korean Feminist Philosophy 23 (null):89-118.
Emotion and Publicness. 이상형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8:45-65.
Forgiveness as Something We do. 이선형 - 2019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8:75-96.
Moral Rules in Smith's Theory of Moral Sentiments. 변영진 - 2017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112):269-293.
A Study on the Form of Adorno’s Theory of Moral. 정진범 - 2019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9:139-165.

Analytics

Added to PP
2023-02-28

Downloads
3 (#1,851,971)

6 months
3 (#1,473,720)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