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logical Thoughts of Zhou Lian-xi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7:1-26 (2018)
  Copy   BIBTEX

Abstract

유교는 일찍이 지구 생태계가 맞이하고 있는 환경 위기와 생명의 대멸종을 극복할 수 있는 사상 자원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유교사상 중 ‘만물일체(萬物一體)’설은 인간 중심주의와 대척 지점에 서있는 사상으로 간주되고 있다. 모든 존재가 하나의 덩어리로 이어져있기 때문에 한 생명체의 고통은 공감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공감은 지구 생태계에 대해 인간 중심주의(anthropocentrism)가 관철하는 상황과 다른 대응과 책임을 요구한다. 주렴계의 ‘창전초부제’ 고사는 만물일체를 구현하고 있는 상징적 사건으로 주목할 만하다.BR 주렴계의 ‘창전초불제’ 내용은 아주 간단하다. 그럼에도 철학과 미학의 역사에 던진 영향은 적지 않다. 정명도도 유사한 체험을 하며 주석을 달았고 주희는 공자의 ‘무우귀영(舞雩歸詠)’과 주렴계의 ‘창전초부제’를 독서의 즐거움을 결합시켰다. 왕양명은 아예 “창전초부제 고사에 대한 최고의 주석을 달려고 노력했다. 창전초부제 고사는 사람이 세계를 이해하는 조그만 창을 넘어 형이상학적 체험이자 시적 정취이자 심미적 쾌감을 대변하는 큰 사건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이렇게 보면 창전초부제 고사는 ‘연비어약(鳶飛魚躍)’과 마찬가지로 세계를 인간중심이 아니라 인간과 자연을 동류이자 동기로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0,865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Wilson's Ecological Thinking - Biophilia and Universal Conservation Ethics -. 윤진각 - 2016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6:217-228.
Mourning and Forgiveness of the Death. 공병혜 - 2020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2:23-45.
A Critical Review of Teleology as the Basis for Responsibility. 이민혁 - 2023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68:165-196.
Heidegger’s Environment and Existential Anxiety. 박인정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0:21-49.
The Problem of Light and Vision in Descartes"s Optics. 이경희 - 2021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5:23-45.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10 (#1,467,566)

6 months
5 (#1,035,700)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