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의 “行其所無事” 원칙과性論에 대한 생태 철학적 접근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50 (50):253-286 (2007)
  Copy   BIBTEX

Abstract

본 논문은 맹자의 ‘行其所無事’ 원칙 및 그것의 性論으로의 관철이라는 문제에 대한 생태 철학적 시각에서의 탐구이다. 춘추전국시대 노동양식의 변혁은 인간과 자연의 관계와 자연관에도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다주었다. 이 시기 인간은 자연으로부터 완전히 해방될 수 있었으나, 자연의 측면에서 말하자면 이러한 인류의 진보는 자연의 자기희생을 의미하기도 했다. 이러한 역사적인 역설에 직면하여 도가가 자연성을 보존할 것을 주장하고 묵가가 기술적 해방에 적극적으로 찬동한데 반해, 맹자는 이 두 가지 관점을 종합하려고 했으니, 양주와 묵자에 대한 비판을 통해 그는 ‘行其所無事’의 원칙을 정립하게 되었다.‘行其所無事’는 대상 파괴적 인식과 실천을 부정하는 동시에 대상의 본성을 따라가는 인식과 실천을 긍정하는 무위와 유위의 변증적 통일의 원칙이다. 맹자가 이러한 종합적 원칙을 제시할 수 있었던 까닭은 그가 백성의 농업생산에 관심을 가진 士 계층을 대변하는 사상가였다는 데 있으니, 이로부터 ‘行其所無事’란 농사 자체가 지닌 성격을 고스란히 반영하는 농업 문화적 사유방식의 전형임을 알 수 있다. ‘行其所無事’의 원칙은 맹자의 성론에도 철저히 관철되어 있다. 즉 인성 문제를 다룰 때 맹자는 물, 나무, 농작물과 같은 비유를 자주 쓰는데, 그것들이 지닌 생명성 및 생장, 성숙에 관한 묘사는 ‘行其所無事’의 원칙을 전면적으로 드러내고 있다.현대 서양의 생태철학은 ‘자연의 내적 가치’라는 관념의 인식론적 근거와 관련된 논의에 머물고 있어서 주객 이분법적 사유 틀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 것처럼 보이는데, 이러한 생태철학의 현실을 감안할 때, 맹자의 “行其所無事”는 생태 문명의 구축에 있어서 인식과 실천의 근본적 원칙을 제시해 주고 있다. 그 밖에도 현대유가철학에서 仁의 보편성이 보다 강화된다면 이른바 ‘측은지심’의 윤리학 역시 현대생태윤리학을 구성하는 귀한 정신적 자산이 될 수 있을 것이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072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Wang Yangming’s Sim jeuk ri[心卽理]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 이우진 - 2016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80 (80):119-146.
정이천의 풍수지리사상 연구. 민병삼 - 2009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59 (60):327-360.
Tao Xingzhi =.Peiji Jia - 1991 - Chongqing: Chongqing chu ban she.
Chuang Tzu’s view of Xin(心), Xing(性), and the Real Man. 신순정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8:235-252.
Nammyeong Jo-Sik's Practical Social Reformism. 이미림 - 2013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39 (39):29-52.
글로벌 시대의 老莊哲學. 이강수 - 2010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34 (34):115-132.
A study on the theory of 'Li-ming(立命)' of Mencius. 이택용 - 2011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67 (67):147-183.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1

Downloads
7 (#1,638,362)

6 months
4 (#1,249,987)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