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amining Treatise of Four Faith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31 (31):241-265 (2009)
  Copy   BIBTEX

Abstract

이 논문은 제바가 저술한 『提婆菩薩破楞伽經中外道小乘四宗論』(이후 『사종론』)에 대한 고찰이다. 『사종론』은 인도철학파들이 일체법을 實有하다고 집착하여 주장하는 각각의 견해들을 一․異․俱․不俱라는 四句로 정리하여 비판한다.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 논서는 『능가경』, 특히 「집일체불법품」에서 사구로 비판한 외도의 학설을 구체적으로 수론학파와 승론학파와 자이나교와 약제자라는 네 개 학파의 학설로 규정하고, 그들의 학설을 보다 철학적이고 체계적으로 비판할 목적으로 저술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사구 중 가장 근본이 되는 동일함(identity)과 다름(difference)에 대한 비판을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여기서 논의하는 동일함과 다름은 일체법을 생성시키는 원인과 결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각 학파들의 학설을 말한다. 『사종론』에서는 동일함과 다름을 비판하는 방법론에 그 특징이 있다고 하겠다. 제바가 저술한 다른 논서에서 보이는 존재론적 비판과는 달리, 我와 覺의 관계를 존재론을 바탕으로 한 인식론적 접근방법으로 비판하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능가경』에서 唯心으로 일체법이 실유하다고 주장하는 외도학파들의 학설을 비판하는 방법과 맥을 같이하여 인식론적 비판방법으로 채택하였음을 밝혔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369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Aspects of the Use of Wisdom and Brightness in the Four Books. 임종진 - 2022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9:387-409.
The Ideal Realms of Life Expressed in Toegye's Travel Essays. 홍성민 - 2014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41 (41):169-195.

Analytics

Added to PP
2023-02-28

Downloads
7 (#1,642,802)

6 months
6 (#882,325)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