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śakāra Vasubandhu and the Laṅkāvatārasūtra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32 (32):251-293 (2011)
  Copy   BIBTEX

Abstract

슈미트하우젠(Schmithausen 1992)은 『능가경』의 편찬자가 세친의 『유식삼십론』을 인용한다고 말함으로써 경과 논의 관계에 대한 기존의 통념을 뛰어넘는 획기적인 주장을 한다. 그런데 세친의 『석궤론』에는 『능가경』으로 추정되는 익명의 대승경이 인용되는데, 이것이 만일 『능가경』임이 판명된다면 슈미트하우젠이 주장하는 것과는 반대로 오히려 세친이 『능가경』을 학습하였으며 대승 전환 이후의 그의 유식사상의 전개 과정에 『능가경』의 영향력이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고는 세친과 『능가경』의 연대적 선후문제를 확정할 수 있는 문헌적 전거로 세친 『석궤론』의 『능가경』 관련 구절을 지목하고 그 인용 원칙과 내용을 기존의 『능가경』판본들과 비교·분석한다. 그리고 세친이 「게송품」(Sagāthakam)을 포함한 위역(魏譯) 이래의 판본과 유사한 『능가경』을 활용했을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한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369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Haecceity and Haecceitism. 최이선 - 2021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6:355-377.
「經說」을 통해 본 眉叟 許穆의 禮樂論. 선우미정 - 2019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99 (99):7-32.
Chutzu's Theory of Human Mind and Moral Mind. 전현희 - 2011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31 (31):289-319.
A structural feature of the Trisvabhāva Theory in the Madhyāntavibhāga. 김재권 - 2008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25 (25):101-119.
The Xinxue of Zhen Dexiu : especially on the birth of the concept of Xinxue. 윤상수 - 2017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48 (48):39-67.
청화간 『금등』의 문헌적 성격과 사상사적 의의. 원용준 - 2012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72 (72):95-126.
荀子와 先秦儒家 樂論의 成立에 대한 연구. 정병섭 - 2010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64 (64):349-382.

Analytics

Added to PP
2023-02-28

Downloads
11 (#1,425,715)

6 months
6 (#882,325)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