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on dialectics of the universal and the individual in philosophy of history – focusing on Hegel’s philosophy of history and Adorno’s critique of it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75 (75):347-376 (2015)
  Copy   BIBTEX

Abstract

현대의 역사철학자들의 일반적인 경향은 역사 형이상학의 부정이다. 무엇보다도 20세기의 참담하고도 끔찍한 역사적 사건들에 대한 역사적 반성을 하게 된 역사철학자들은 역사형이상학을 부정하는 경향이 강하다. 이들은 특히 헤겔의 세계사에 나타난 낙관적 결론과 역사적 현실에서의 무력함을 이러한 비판의 주된 대상으로 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헤겔의 보편적 역사형이상학이 역사에 있어서 개별적 역사주체의 고통과 희생을 합리화시킬 수 있는 원인으로 지적하고 있다. 아도르노는 이러한 관점에서 헤겔의 역사철학을 비판하는 대표적인 철학자이다. 헤겔은 세계이성의 자기완성과 필연적 자유의 실현을 근본으로 하는 보편적 세계사를 제시하였고 이것이 절대적 진리라고 하였다. 그러나 아도르노는 이러한 헤겔의 역사철학의 귀결은 진실이 아닌 허위이며 보편과 절대적 동일성에 의해 강요된 화해라고 한다. 무엇보다도 헤겔은 개별자가 보편에 해소되어 목적을 위한 수단이 되는 세계사를 구성하고 있는 데 이러한 논리는 보편에 의해서 고통당하고 희생당하는 개인을 정당화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고 한다. 이 논문은 헤겔의 보편과 개별의 변증법과 아도르노의 부정의 변증법을 비교하여 이들의 역사철학적 의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즉 보편에 의해서 개별이 해소되고 매개되어 세계사를 완성하고 완성된 인륜적 공동체를 이룬다고 하는 헤겔의 변증법과는 달리 보편과 개별이 긴장 관계에서 조화를 이루고 동일자와 비동일가 자유롭게 변증법적 관계를 이룬다고 하는 아도르노의 변증법과 역사철학을 비교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세계이성과 자유 그리고 필연성과 보편의 개념들의 변증법적인 관계에서 이루어지는 헤겔의 역사철학을 살펴보고 둘째로 헤겔의 체계와 역사철학의 형이상학을 비판하면서 헤겔의 역사철학적 귀결은 허위이고 오류임을 지적하고 오히려 이러한 헤겔의 역사철학이 20세기의 역사적 주체이자 개별자들이 역사의 보편성에 의해 억압당하고 희생당하게 하는 원인이라고 주장하는 아도르노의 역사철학을 살펴보고자 한다. 셋째로 결론으로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사철학적 전통이자 특징인 보편적 역사나 역사적 형이상학이 아직도 유효한가에 대해서 반성적 검토를 하고자 한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297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A Study of dialectical epic theater -in the point of Hegel's dramatic Poesis and Brecht's epic theater-. 배용준 - 2014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71 (71):275-308.
A Study on Ethical Community and Liberty of Pursuit of Desires in Law of Nature - Focused on the Law of Nature by Hobbes and Hegel-. 배용준 - 2018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90 (90):315-352.
Hegel’s Reception and Criticism of Winkelmann. 서정혁 - 2016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27:79.
A Study of Form and Matter in dialectical Aesthetics. 배용준 - 2012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63 (null):97-125.
Hegel’s concept of reason as the completion of traditional reason. 정대성 - 2020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4:121-142.
Hegel’s interpretation of Greek tragedy. 조창오 - 2014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74 (74):339-366.
Hegel’s Anti-evolution and Natural-philosophical Consideration of Species. 오지호 - 2020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5:83-107.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7

Downloads
12 (#1,376,176)

6 months
6 (#879,768)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