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ritical Review on the Alteration of Teogye’s Four-Seven Theory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9:67-96 (2019)
  Copy   BIBTEX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이황이 기대승과의 사단칠정논쟁을 진행하면서 자신의 초기 입장을 변화시켰다’는 최근의 몇몇 연구 결과에 대해 비판적 견해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황의 초기 입장이 기대승의 비판을 거치면서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면밀히 분석해야만 한다. 그런데 이러한 작업은 매우 어렵다. 이황과 기대승이 주고받은 편지의 분량이 매우 많은 데다, 심오한 성리학적 개념들과 문장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황은 문맥에 따라 성리학적 용어들을 다의적으로 표현하기도 하고, 사단칠정론과 관련된 핵심 주장을 관점에 따라 중층적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이황의 편지를 온전히 분석하기 위해서는 용어의 다의성과 관점의 중층성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는 관련 자료를 활용하여 크게 네 가지 측면에서 이황의 사단칠정론 변화 유무를 검토할 것이다. 먼저, 사단칠정논쟁의 단초가 된 주장인 “사단발어리, 칠정발어기”(四端發於理, 七情發於氣)에 담긴 이황의 의도와 이황이 이러한 주장을 통해 무엇을 드러내고자 했는지, 그리고 그러한 의도와 내용이 과연 논쟁 중에 변화되었는지에 관해 분석할 것이다. 주장을 펼친 당사자의 의도를 모르고서는 결코 그 주장에 담긴 의미를 이해할 수 없기 때문이다. 둘째, 리와 관련하여 사용된 ‘발’(發)의 의미를 분석할 것이다. 이황은 시종 사단칠정과 관련된 자신의 견해를 펼칠 때 핵심 용어를 ‘발’과 연결하여 표현했으므로 발의 의미를 정확히 분석하지 않고서는 그 견해가 일관되게 유지되었는지 여부를 결코 확인할 수 없기 때문이다. 셋째, 사단칠정론에 담긴 칠정관을 분석할 것이다. 기대승의 비판이 집중되었던 곳이 바로 이황의 칠정관이었고, 그렇기 때문에 그 만큼 이황이 자신의 칠정관을 논쟁의 말미에서 변화시켰다는 혐의가 강하게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사단과 칠정의 선악문제에 대해 검토할 것이다. 사단의 선과 중절한 칠정의 선이 같은지 다른지의 문제, 사단도 부중절한 경우가 있는지 없는지 관한 문제를 살피지 않고서는 사단칠정논의 변화 여부를 판단할 수 없기 때문이다. 논자는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이황이 비록 기대승과의 논쟁 과정에서 자신의 입장을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였지만, 그 의미만은 일관되게 유지하였다는 점을 밝힐 것이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139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Can Novels Lie? 김한승 - 2022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52:87-108.
A Study on the Unvirtuousness of the Sadan - Focusing on the Discussion of Toegye and Gobong -. 배병대 - 2020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2:149-167.
Integrity for a happy life. 한곽희 - 2018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6:109-134.
Moral Philosophy on the 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 by A. Smith. 문종길 - 2012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86):1-25.
Aristotle on Temperance with Insensiblilty and its usage in Nicomachean Ethics. 윤대열 - 2023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13:167-192.
The Moral Educational Implication of “Experience” in John Dewey’s Philosophy. 장혜진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8:145-168.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6 (#1,695,973)

6 months
5 (#1,043,573)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