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Inquiry of Zhang Bo-duan's Writings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29 (29):255-280 (2010)
  Copy   BIBTEX

Abstract

道敎의 內丹理論을 집성한 인물을 꼽으면, 단연 張伯端일 것이다. 그는 {悟眞篇}과 {靑華秘文} 및 {金丹四百字} 등 3편의 저술을 남긴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연구자들은 이것을 토대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과연 이 모두가 그의 저술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정확한 분석을 가하지 않은 채로 잠정적으로 인정하고 있거나, 단순하게 믿고 있는 정도일 뿐이다. 철학적 태도에서 정확성과 엄밀성은 필수적이다. 일차적 자료에 대한 철저한 검증이 없는 연구는 그야말로 사상누각에 불과하다. 본고에서는 도교 내단사상의 연구에 있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는 장백단의 저술에 대한 치밀한 분석을 가하여, 앞으로 그에 대한 철학적 분석의 명백한 기초를 확립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장백단은 80세가 넘은 나이에 도를 얻고서 아주 늦은 나이에 그 秘訣을 기록으로 남기고 제자에게 丹法을 전하였다. 그리고 그는 살아서가 아니라 죽은 다음 일정한 세월이 지난 후에 위상이 높아졌다. 내단도교에서 중요한 비중을 갖게 된 그의 위치로 인하여 그의 저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고, 따라서 그의 이름에 의탁한 책들이 유포되었다고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眞僞에 대해서 확정하지 못하고 있는 장백단의 저술에 대해서, ‘悟眞篇’에 「自序」⋅「七言四韻 16首」⋅「七言絶句 64首」⋅「五言律詩 1首」⋅「西江月 12首」 및 「後序」를 배당하고, ‘悟眞外篇’을 {悟眞篇拾遺}라고 하여 「禪宗歌頌詩曲雜言 32首」를 넣어야 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리고 ‘悟眞篇 外’라고 하여 {金丹四百字}와 {靑華秘文}, 그리고 「西江月」 1수와 七言絶句 5首, 「讀周易參同契」⋅「贈白龍洞劉道人歌」⋅「石橋歌」를 포함시키면 적절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몇 가지의 論據를 제시하여 {금단사백자}나 {청화비문}은 장백단의 저술일 가능성이 매우 희박하여 후인들의 僞作일 것이라는 사실을 논증하였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This entry is not archived by us. If you are the author and have permission from the publisher, we recommend that you archive it. Many publishers automatically grant permission to authors to archive pre-prints. By uploading a copy of your work, you will enable us to better index it, making it easier to find.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6,168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孟子』의 『書』 인용에 관한 연구. 이은호 - 2013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76 (76):215-238.
「經說」을 통해 본 眉叟 許穆의 禮樂論. 선우미정 - 2019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99 (99):7-32.
Seon Thought in Seonmunbojangnok(禪門寶藏錄) and its Influence on Korean Seon. 오홍석 - 2016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81 (81):181-209.
The Thought of Language in the Silk-Manuscript Yi-chuan(易傳) from Ma-wang-dui(馬王堆). 원용준 - 2008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24 (24):347-383.
『孟子』革命論 考察 ― 그 구조와 함의 ―. 서대원 - 2011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35 (35):265-298.

Analytics

Added to PP
2023-02-28

Downloads
9 (#1,600,339)

6 months
2 (#1,359,420)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