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scourse of Naturalism and the Origins of “Jayeon (自然, ziran)” in East Asia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43:109-131 (2023)
  Copy   BIBTEX

Abstract

오늘날 한국 철학계에서 사용하고 있는 “자연주의”라는 말은 서구 철학에서 논의되는 내츄럴리즘(Naturalism)보다 더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있기에 동서철학의 교차 토론에서 자주 개념적 혼란이 빚어진다. 그 주요 원인은 한국어 사용자에게 음미되고 받아들여져 온 전통적인 “自然” 개념이 “대상적 세계의 총칭”을 뜻하는 근대어로서의 “자연” 개념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동아시아에서 “자연” 개념의 성숙과 확산 과정에서 발신자 역할을 했던 도가의 “자연” 개념을 살펴보고, 오늘날 유행하는 내츄럴리즘 혹은 피지컬리즘(physicalism)에 입각한 “자연주의” 담론으로는 도가를 자연주의라고도 반자연주의라고도 분류할 수 없음을 지적한다. 그렇다고 해서 도가의 “자연”이 반현대적이거나 반과학적인 것은 아니며 오히려 “창발적 자연주의”와 같은 새로운 형태의 자연주의 개념을 이해하고 발전시키는데 중요한 참조가 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459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An Essay on New Naturalism. 한대석 - 2017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86 (86):405-460.
Hegel and Naturalism. 오지호 - 2020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31:55-78.
A Critical Examination of Logicism II. 한대석 - 2017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83 (83):463-516.
Consideration of the Realization of Murray Bookchin s Free Nature. 진희종 - 2019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8:191-211.
Epistemological Naturalism and the Permanent Possibility of Mistakes. 이병덕 - 2019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0:101-124.

Analytics

Added to PP
2024-01-17

Downloads
12 (#1,379,631)

6 months
4 (#1,272,377)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