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formation of Metaphysics - from Strong Reason to Weak Reason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36:29-52 (2022)
  Copy   BIBTEX

Abstract

근대 이후의 형이상학은 주관성 형이상학에서 탈형이상학을 거쳐 상호주관성 형이상학으로 이행한다. 이러한 이행은 형이상학과 탈형이상학의 병존 또는 강한 이성에서 약한 이성으로의 변화로 볼 수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이행과정을 서술하고 그 타당성을 밝히려고 한다. 칸트의 형이상학은 자연과학을 염두에 두었으나 제한된 이성의 형이상학에 그쳤다. 헤겔의 형이상학은 전체 존재를 파악하는 이성의 체계학으로 발전했으나 개별성과 우연성을 중시하는 반형이상학을 통해 저지되었다. 분화와 해체의 분위기 속에서도 최소한의 합의를 중시하는 상호주관적 관점은 오늘의 형이상학이 도달한 지평이다. 약한 이성은 인간의 유한성을 자각하면서도 세계를 합리적으로 파악하는 노력을 멈추지 않는다. 약한 이성이 주도하는 형이상학은 대화의 형이상학이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553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Hegel’s concept of reason as the completion of traditional reason. 정대성 - 2020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4:121-142.
Deleuze and the Foundation of the Metaphysics. 주재형 - 2017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75:39-68.
The Problem of Distinction Between ‘weak AI’ and ‘strong AI’. 김진석 - 2017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17:111-137.
The Affinity as Presupposition of Freedom. 이병탁 - 2019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8:93-118.
John. D Caputo’s phenomenology of (God of) Weakness. 윤동민 - 2022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92:29-61.
Coreth’s ‘Metaphysics as Horizon’. 박병준 - 2022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36:1-28.
Analytic Philosophy and Historiophobia. 한상기 - 2016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5:419-441.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1

Downloads
4 (#1,809,777)

6 months
4 (#1,288,968)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