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n Kants moralischer Autonomie hin zu Hegels sittlicher Autonomie: Zur von der zweiten Natur vermittelten zwei-dimensionalen Befreiung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16:221-250 (2017)
  Copy   BIBTEX

Abstract

자율성은 인간이 자신 스스로에게 부여한 법에 복종함으로써만 비로소 자유로울 수 있으며, 모든 규범적 권위들은 단순히 주어져있다는 이유로 주체에게 타당한 구속력을 발휘할 수 없음을 각성시키는 개념이다. 때문에 이 개념은 흔히 인간의 자유는 그 스스로의 ‘시초의 자기입법’에 달려 있다는 관념을 수반하곤 한다. 그러나 문제는, 이 관념을 수반할 경우 자율성은 한갓된 자의의 표출을 자유의 원천으로 드높이는 개념이라는 혐의에 회부되기 쉽다는 것이다. 칸트는 자기입법 작용을 선험적 이성의 명령, 즉 준칙의 모순 없는 일반적 법칙화가능성을 검토하라는 정언명령이 규제하는 반성적 판단 작용으로 대체함으로써 이 난점을 해소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렇게 변형된 칸트의 도덕적 자기입법의 절차는 이미 주어진 바람직한 주관적 목적의 내용에 동어반복적으로 법칙의 지위를 부여할 수 있을 뿐, 사회 세계의 이성적 구성원들에게 공히 구속력을 발휘하는 윤리적인 행위법칙을 산출할 수 없다.BR 법칙과 주체의 상호유기적인 쌍방향적 구성의 관계에 주목함으로써, 칸트의 자기입법 모델의 이 한계를 극복하려는 시도가 헤겔의 인륜성 구상이다. 이 구상을 특징짓는 자율로서의 자유는 두 차원의 “해방”을 포괄하는 이념으로 이해된다. 첫째, 인간은 우선 공동체 안에서 통용되는 이성적 규범들을 자발적으로 전유하는 가운데 윤리적 심정을 제2의 자연과도 같이 구축하면서 한갓된 자연충동에서 ‘풀려난’ 사회적 주체가 된다. 둘째, 고착된 제2의 자연이 되어버린 주관적 심정이 행위로 표출될 때 나타나는 갈등과 충동을 매개로, 주체들은 자신의 현행적인 주관성에서 ‘풀려나’ 일반성으로 되돌아간 특수성을 재정립하려는 ‘더 높은 해방’의 관심을 갖게 된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This entry is not archived by us. If you are the author and have permission from the publisher, we recommend that you archive it. Many publishers automatically grant permission to authors to archive pre-prints. By uploading a copy of your work, you will enable us to better index it, making it easier to find.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5,131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Sartre, Kant, and the Ethics of Authenticity. 설민 - 2018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20:55-87.
Is Kant’s ‘experience’ free from the problem of sense data? 권영우 - 2024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46:27-61.
All Humans Are Moral by Nature - Focusing on Kant’s Radical Evil and Freedom of Willkür -. 김소형 - 2022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9:121-140.
Kant's Pluralism. 김영례 - 2013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67 (67):409-437.
About Language Constitutes My World.이지중 ) - 2021 - Philosophical Practice and Counseling 11:99-120.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1

Downloads
5 (#1,796,855)

6 months
1 (#1,606,097)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