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12
    A Study on Characteristic Features of Zhu Xi’s Filial Piety ‒ On the Social Proliferation of Filial Piety ‒. 이동욱 - 2015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26:1.
    이 논문의 목적은 주희(朱熹)의 효(孝) 개념 이해의 특징을 조명하는 것이다. 특히 선진(先秦) 유학의 연장과 계승이라는 측면과 함께 주희의 신유학적 이론 구조 속에 효 개념이 어떻게 수용되고 있으며, 어떤 특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지에 주목하고자 한다.BR 선진 유학의 효(孝)는 가족윤리로서의 편파성과 배타성 때문에 묵가와 법가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맹자는 이 비판을 극복하기 위해 효의 사회적 확대를 위한 두 가지 이론적인 방법을 고안했다. 맹자가 제시한 첫 번째 방식은 부모에게 발휘되는 공감과 헤아림을 다른 사람들에게도 ‘확장(expansion)’하는 것이다. 이는 효를 실천하는 행위자의 도덕적 능력을 성장시키는 방식으로, 측은지심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11
    A Study on Characteristic Features of Zhu Xi’s Filial PietyⅡ - On the Relation between Filial Piety and Benevolence -. 이동욱 - 2016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27:27.
    유학의 도덕철학은 혈연에 기반을 둔 효를 도덕성의 출발점으로 한다. 이 특징으로 인해 유학의 도덕철학은 두 가지 질문을 필연적으로 수반할 수 밖에 없다. 첫째, 과연 사적 관계의 덕목인 효에서 보편적 도덕원리가 생성되고 함양될 수 있는가? 둘째, 사적 관계의 덕목인 효와 공공성 혹은 보편적 도덕원리가 충돌한다면, 과연 양자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는 것이 옳은가? 이 두 가지 질문은 상호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BR 이 논문에서는 둘째 문제에 집중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주희가 선진유학에서 논의된 이 문제를 인(仁)에 대한 체용론(體用論)적 해석을 통해 해결해가는 과정을 분석할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6
    A Study on Lu Jiuyuan(陸九淵)'s Theory of Heresy. 이동욱 - 2010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63 (63):299-327.
    이 논문은 육구연의 이단론(異端論)에 대한 조명을 목적으로 한다. 육구연은 불교⋅도교를 이단으로 비판하기는 하지만, 그가 주로 비판하는 이단은 유학 내부의 이단이다. 유학 내부의 이단은 노자(老子)의 영향으로 예(禮)와 인간 외면에 대해 강조한다. 육구연은 초기 유학을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한다. 첫째, 안자⋅증자⋅맹자의 정통 계열이다. 둘째, 자하⋅자장⋅고자의 외(外)를 중시하는 도덕 이론을 가진 유학자들이 있다. 셋째, 순자 계열로 제도를 통한 사회적 효과를 중시한다. 그리고 그는 이 세 가지 초기 유학의 유형이 송대(宋代) 신유학 운동에서도 그대로 나타난다고 본다. 셋째 계열은 왕안석이고, 둘째 계열은 정주학이다. 첫째 계열은 바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10
    A Study on the debate of the Great Ultimate and the Ultimate of Nonbeing. 이동욱 - 2010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33 (33):247-277.
    이 논문의 목적은 주륙(朱陸)의 무극태극논쟁에서 육구연의 입장을 조명하는 것이다. 이 논쟁 자체가 유의미한 것인지 아닌지에 대해 기존 연구자들의 논란이 있지만, 이 논문에서는 이 논쟁을 육구연 입장에서 재구성함으로써 논쟁의 의미를 찾고자 한다. 지금까지 이 논쟁에 대한 가장 유력한 해석은 풍우란(馮友蘭)이 제시한 일원론과 이원론의 대립이었다. 필자는 이 해석이 논쟁의 배경은 되지만, 주희가 말한 육구연의 ‘의도’를 보여주지는 못한다고 보고, 이 논쟁을 시작한 육구연의 ‘의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무극태극논쟁을 시작한 육구연의 ‘의도’는 둘이다. 첫째, 외(外)를 강조하는 유학 내부의 이단을 비판하는 데 초점을 맞춘 자신의 독특한 이단론에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