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ults for 'Toegye Hyangyak'

52 found
Order:
  1.  3
    A Study on the Village Community in the Joseon Dynasty - Focus on the Gohyeon Hyangyak -. 김상현 - 2024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8:29-64.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이 건국된 지 100년도 되기 전인 1475년부터 실시되어 현 재까지 500년이 넘게 지속되고 있는 고현향약을 통시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고현향약은 현존하는 향약 가운데 가장 오랜 기간 존속된 향약이기 때문에 조선시대 마을공동체의 모습을 규명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이와 같은 고현향약을 통시 적 관점에서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다면 우리는 전통적인 마을공동체 모습에 대해 좀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고,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우리 사회의 바람직한 지 역자치조직의 모델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고현향약 관련 선행 연구가 몇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13
    Toegye: His Life, Learning and Times.Michael C. Kalton - 2017 - In Young-Chan Ro (ed.), Dao Companion to Korean Confucian Philosophy. Springer Verlag. pp. 159-178.
    Toegye Yi Hwang is the most renowned Neo-Confucian thinker of Korea’s Joseon dynasty. The first three sections of this chapter describe his early life, the violent “literati purges” that preceded and extended tragically into his early career, and his career in office, from which he sought retirement only to be recalled repeatedly. The fourth section looks into the primary sources, the books from which he became steeped in the learning of the Cheng-Zhu school of Neo-Confucian thought. His own major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Export citation  
     
    Bookmark   1 citation  
  3.  6
    Toegye's Tao-hsueh and the Theory of Governance.Heuibok Kang - 2014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41:71-92.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9
    Toegye's Conception of li-fa(理發) Explained fromthe Theory of Supervenience.Seung-Hwan Lee - 2010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34:191-237.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Toegye's and Gobong's Li-Qi metaphysics and the four-seven debate.Bongrae Seok - 2018 - In Suk Gabriel Choi & Jung-Yeup Kim (eds.), The Idea of Qi/Gi: East Asian and Comparative Philosophical Perspectives. Lanham: Lexington Books.
     
    Export citation  
     
    Bookmark  
  6.  12
    Toegye and Yulgok's Theory of Human Mind·Moral Mind - The Korean Development of Chutzu's Theory of Mind. 전현희 - 2014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41 (41):93-127.
    퇴계와 율곡은 모두 현실 감정으로부터 선의 지평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퇴계는 선의 지평이 이치에 의해 마련된다고 보았으며, 율곡은 그것이 기운에 의해 마련된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이치에 의해 마련한 선의 지평으로서의 사단은 인간의 주체성을 위협할 수 있었으며, 기운에 의해 확보된 선의 지평으로서의 중절한 감정은 그 중절의 여부가 자체로 증명되지 않았다. 그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인심도심설을 통해 풀어간다. 퇴계에게 도심은 인간을 도덕적 주체로 서게 하는 것으로서의 의미를 지니며, 율곡에게 도심은 중절의 기준을 만족시키는 것으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반면 주자 인심도심설에 의하면 인심도심은 지각하는 마음으로서, 미발과 이발을 주재하여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7.  45
    The Significance of Toegye’s Theory on “Manifestation of Principle”.Jaeho Ahn - 2014 - Journal of Chinese Philosophy 41 (1-2):114-129.
    This article aims to critique the recent claim raised in Korea that Toegye's theory on lifa 理發 “negates the activity of li.” In my view, although the idea of lifa is not clearly presented by Zhu Xi and even contradicts his conception of “non-action of li,” it recovers fundamental Confucian principle and reaffirms valuable attributes of humanity. Toegye's notion of lifa establishes the ground for distinguishing humans from animals by emphasizing the subjective spontaneity and activity of moral rationality. (...)
    Direct download (3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8.  9
    Toegye(退溪) Yi Hwang(李滉)'s Moral Education Theory - Focused on the system and contents of the 'Ten Diagrams of Sage Learning'. 지준호 - 2018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59 (59):287-312.
    사람과 사람 사이의 올바른 관계를 추구하는 유학은 수기(修己)와 치인(治人)이라는 논리구조를 통하여 도덕적 개인이 공동체의 발전에 기여하는 이상향을 그린다. 16세기 한국 성리학의 태두인 퇴계 이황은 자신의 교육적 의도와 관심을 반영하고 성리학의 본체와 공부의 전 과정을 그림 열 폭에 정리하여 『성학십도』를 만들었다. 『성학십도』에서 표방하는 교육의 목적은 성인(聖人)이 되는데 있으며, 이는 성찰적이며 실천적인 도덕인이 되고자 하는 도덕교육의 목적과도 궁극적으로 그 궤를 같이 한다. 『성학십도』의 전체 주제는 경(敬)을 기초로 인륜과 도덕의 원리를 밝혀 인간의 본성을 회복하기 위한 것과 연관된다. 경(敬)은 또한 수양의 목적이자 방법이며, 주요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9.  15
    No Extravagance in Poems. A Linkage between Toegye's Poetic Aesthetics and Life Realm.Zheng-Ying Ma & Heng-Dong Xu - 2022 - Espes. The Slovak Journal of Aesthetics 11 (2):50-57.
    Experiences in the heart is one matter and literary writing is another: Toegye (1501-1570, a famous Korean Confucianist), however, would rather regard the two as a completely unified process, which amalgamates an immanent quality and a literary style, without isolation between them. Toegye stressed and valued the purity of the first experience, i.e., the filtered and the purified in the heart, which would flow into the second experience and purify it as well, ultimately cultivating it into a complete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0.  13
    Toegye Lee Hwang's Assessment on Iljae Lee Hang's Study - Focusing on Sung Confucianism.Young-Sung Choi - 2014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42:9-37.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1.  16
    Toegye : a person of pleasant and noble mind.Sangik Lee - 2014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41:39-70.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2.  15
    The Moral and Religious Thought of Yi Hwang (Toegye): A Study of Korean Neo-Confucian Ethics and Spirituality.Edward Y. J. Chung - 2021 - Springer Verlag.
    This book presents Yi Hwang —better known by his pen name, Toegye—Korea’s most eminent Confucian philosopher. It is a pioneering study of Toegye’s moral and religious thought that discusses his holistic ideas and experiences as a scholar, thinker, and spiritual practitioner. This study includes Toegye’s major biographies and letters as well as his famous Jaseongnok and Seonghak sipdo. Edward Chung explains key concepts, original quotations, annotated notes, and thought-provoking comments to bring this monumental thinker and his work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 citation  
  13. Yŏ Ssi hyangyak ŏnhae.Pyŏng-hŭi An (ed.) - 1976
     
    Export citation  
     
    Bookmark  
  14. Chosŏnjo hyangyak yŏnʼgu.Kyo-hæon Chi, Mun-hyæong Ch°oe & Kyun-sæop Pak - 1991 - Sŏul Tʻŭkpyŏlsi: Minsogwŏn. Edited by Mun-hyŏng Chʻoe & Kyun-sŏp Pak.
     
    Export citation  
     
    Bookmark  
  15.  13
    A Study on Toegye’s Moral Emotion and Moral Will.Jae-Suk Go - 2019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52:203-238.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6. Yulgok ŭi hyangyak kwa sahoe kyoyuk sasang.Kyŏng-sik Kim - 1986 - Sŏul-si: Paeyŏngsa.
     
    Export citation  
     
    Bookmark  
  17.  4
    Yŏkchu Yŏ Ssi hyangyak ŏnhae.Mun-ung Kim (ed.) - 2012 - Sŏul T'ŭkpyŏlsi: Sejong Taewang Kinyŏm Saŏphoe.
    Direct download  
     
    Export citation  
     
    Bookmark  
  18.  9
    Toward the Sublation of Toegye & Yulgok Philosophy.Sangik Lee - 2011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67:75-115.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9.  12
    Korean Confucianism: the philosophy and politics of Toegye and Yulgok.Hyŏng-ch'an Kim - 2018 - New York: Rowman & Littlefield International.
    This book explores Neo-Confucianism and its relationship to politics by examining the life and work of the two iconic figures of the Joseon dynasty Yi Hwang, (1501-1570, Toegye) and Yi I (1536-1584, Yulgok).
    Direct download  
     
    Export citation  
     
    Bookmark  
  20.  6
    Learning of Mind on Toegye's Philosophy. 이치억 - 2015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81 (81):209-234.
    퇴계는 그 학문이 心學으로 일컬어질 만큼 마음을 중시했다. 퇴계가 주제로 삼은 마음은 타자의 마음이 아닌 자기 자신의 마음이며, 대상화된 마음이 아니라 주체적 마음이다. 그리고 마음을 학문적으로 객관화시킨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의 마음을 이상적인 상태로 가져가는 데 목적이 있는 실질적인 것이었기 때문에 퇴계의 심학은 ‘마음공부’로 칭할 수 있다. 퇴계는 유학의 치인적 특성보다 수기적 측면을 강조하여 평생 마음공부를 업으로 삼아 살아간 학자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퇴계가 마음공부를 중시한 이유를 그의 문제의식과 더불어 고찰해 보았다. 퇴계의 학문적 목표는 聖人이 되는 것에 있었고,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1.  26
    The Moral and Religious Thought of Yi Hwang (Toegye): A Study of Korean Neo-Confucian Ethics and Spirituality by Edward Y.J. Ching (review).Maria Hasfeldt Long - 2023 - Philosophy East and West 73 (2):1-3.
    In lieu of an abstract, here is a brief excerpt of the content:Reviewed by:The Moral and Religious Thought of Yi Hwang (Toegye): A Study of Korean Neo-Confucian Ethics and Spirituality by Edward Y.J. ChingMaria Hasfeldt Long (bio)The Moral and Religious Thought of Yi Hwang (Toegye): A Study of Korean Neo-Confucian Ethics and Spirituality. By Edward Y.J. Ching. Switzerland: Palgrave Macmillan, 2021. Pp. vii + 204. Hardcover $99.00, isbn 978-3-030-77923-8.In recent years, the study of Korean Neo-Confucianism as an international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2.  8
    A study of Toegye’s self-cultivation and practical implication based on the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강보승 - 2015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46 (46):117-143.
    『성학십도』의 전반부는 ‘수양을 위한 앎’에 관한 내용으로, 연역적 논리에 의해 수양의 주체와 목적 및 의의가 제시된다. 이것은 ‘누가, 무엇을, 왜’에 해당하는 것으로, 누가 수양해야 하는가, 무엇을 수양해야 하는가, 왜 수양해야 하는가를 밝히고 있다. 이에 따라 전반부를 한마디로 압축하면 궁리진성(窮理盡性)이라고 할 수 있다. 천지자연의 이치를 알고 나의 본성을 자각하여 확충해야 한다는 궁리진성은 퇴계 수양 이론의 핵심이다. 그러나 퇴계가 우리에게 요구하는 것은 이론 탐구가 아닌 ‘실천’이다. 이에 따라 퇴계는 수양 대상인 ‘마음’의 본체와 그 작용에 대하여 연역적으로 밝힘으로써 실천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수양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3.  8
    A Study on the Multiple Models of the Interpretation of 'Li(理)' with the Advent of the AI Era - Focusing on Toegye -. 김승영 - 2021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4:63-84.
    우리에게 익숙한 용어가 되어버렸고 또한 주목받는 화두 가운데 하나가 4차 산업혁명 (4IR;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이라고 할 수 있다. 이 4차 산업혁명의 특징 가운데 하 나가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의 등장이다. 이 논문은 인공지능을 조선조 성리 학의 집대성자인 이황의 핵심철학인 리 와 결부하여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공 지능은 인간이 했을 경우에 사람들이 지능적이라고 받아들일 행동을 할 수 있는 컴퓨터 프 로그램이나 기계를 창조한다는 것이 주요한 개념이다. 이황은 주희철학을 비판적으로 수 용하면서도 계승 발전시킨다. 그 가운데서도 리동(理動)ㆍ리발(理發)ㆍ리도(理到)가 핵심 적 명제이다. 이황은 리동에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4.  11
    A Comparative Study on the `Ki` Recognized by Hwadam(花潭) - Toegye(退溪) · Yulgok(栗谷) in the Neo-Confucianism System. 이종미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4:307-327.
    성리학자들에게 있어 理와 氣의 개념 정리는 자기가 처해있는 현실세계를 이해하고, 인간의 도덕적 윤리관을 자신의 철학적 관점으로 이해하는데 중요한 근간이 된다. 따라서 氣라는 것은 성리학에 있어서 인간과 자연, 존재와 당위, 사실과 가치의 전 영역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되어 왔다. 즉 氣를 자연으로서의 氣와 인간중심과 윤리적 차원의 氣, 그리고 자연과 인간의 심성 차원의 氣로 세분화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에 있어서 대표적인 조선성리학자들은 花潭 · 退溪 · 栗谷이 손꼽힌다.BR 退溪는 ‘理貴氣賤’이라 하여 氣를 천하게 여겼고, 花潭과 栗谷은 ‘氣’를 중시하는 이론체계를 전개하였다. 그러나 花潭은 ‘一氣長存’이라 말하며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5.  10
    A Research on the differences in interpretation of the same references between Toegye and Gobong - Centering on the book of Four-Seven Debate -. 김의성 - 2014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42 (42):265-299.
    조선 시대 성리학의 論辯들은 자신의 주장을 정당화하기 위해 문헌적 근거를 제시한다. 그러나 동일한 典據를 제시한다고 해도 해석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인다. 退溪와 高峯의 四端七情論辯에서도 典據의 제시와 해석의 차이는 중요하게 나타난다. 논문에서는 四端七情論辯의 주장을 통한 典據의 해석상 차이와 그에 따라 파생되는 문제들을 살펴본다. 그리고 四書의 주석들을 중심으로 성리학적 논의들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四端七情論辯을 조망해 봄으로써 논쟁의 중요한 맥락을 살펴보고자 한다. 退溪와 高峯이 동일한 典據를 사용하면서 주장하려고 하는 부분은 四端과 七情의 관계, 氣質之性과 本然之性의 관계에 대한 것이며 더 나아가 性과 情과의 관계, 情과 心과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6.  4
    The Problem of mindfulness and happiness in Toegye's Simhak.Heuibok Kang - 2007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21:41-70.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7.  10
    Korean Confucianism: The Philosophy and Politics of Toegye and Yulgok.Hyoungchan Kim - 2018 - Rowman & Littlefield International.
    This book explores Neo-Confucianism and its relationship to politics by examining the life and work of the two iconic figures of the Joseon dynasty Yi Hwang, and Yi I.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Export citation  
     
    Bookmark  
  28.  9
    A study on Woodam(愚潭) Jeong Si-Han(丁時翰)'s the theory of li and qi, the Four Origins(四端) and the Seven Emotions(七情) - Centering around the relation of Toegye(退溪).Heungchul Son - 2007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22:169-230.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9.  11
    The performance and explanation of Korean Confucianism in Chinese world: On the Toegye study in China and Japan. 金香花 - 2018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58 (58):39-63.
    本文首先在宏观的层面上对韩国儒学在东亚的地位和研究概况进行介绍。 并在此基础上主要以退溪为例, 进行现代中国大陆与台湾、日本对韩国儒学研究情况的介绍与分析。 中国大陆学者对韩国哲学研究注重义理阐发, 显得中正平和;台湾学者对韩国儒学的研究较为突出的是方法上的西方影响(即台湾采用的方法受到了西方思维方式的影响);日本则坚持以文献说话, 试图呈现历史主义的客观性。 近几十年来, 退溪的研究在东亚有了丰厚的成果, 触及到了其思想的方方面面, 包括近几年在日韩与台湾学界出现的退溪心学与阳明学的关联性思考也是值得深思的。 无论何种研究总是从自己国家和地区, 思想认识出发, 难免背后有一个情感和现实带出来的问题意识。 方法上的兼采众长和问题意识的交相呼应, 将有利于退溪学研究向纵深不断发展, 扩大其影响力。.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0. Chŏnt'ong chisik ŭi kŭndae chisik ŭroŭi pyŏnhwan kyŏngno sarye : Yang Kae=do ŭi 'Chungguk hyangyak chedo' yŏn'gu.Ch'oe Ŭn-jin - 2022 - In Yŏng-sun Pak (ed.), Chungguk chisik hyŏngsŏng ŭi pyŏnhwa wa yuhyŏng t'amsaek. Kyŏnggi-do Koyang-si: Hakkobang.
    No categories
     
    Export citation  
     
    Bookmark  
  31.  9
    A Study on the Thought of Respect(Gyeong 敬) - From Toegye through Gyeongdang to Gyehyang -. 홍순희 - 2023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14:363-385.
    본 논문에서는 조선 중기에 삼종지도, 즉 어려서는 아버지를 따르고, 결혼 후에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아들을 따른다는 여성의 도리를 평생 몸소 실천한 정부인 안동 장씨 계향의 경(敬)사상을 다룬다. 그리고 이를 위해 정부인 경(敬)사상의 원류로 볼 수 있는 퇴계 이황과 이황의 적통 제자 반열에 드는 계향의 아버지 경당 장흥효의 경(敬)사상을 함께 다룬다.BR 퇴계의 경(敬)사상은 퇴계가 일흔이 다되어 쓴 『성학십도』에서 구체적으로 묘사되어있다. 『진성학십도차(進聖學十圖箚)』의 10개 도식 중에 특히 제8 『심학도』와 제9 『경재잠도BR』, 제10 『숙흥야매잠도』에 퇴계의 경(敬)사상이 집약되어 있다. 경당(敬堂) 장흥효는 퇴계학파로 분류되는 유학자로서 현실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2.  13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Activity of LI and Political Thoughts in Toegye Philosophy. 김경수 - 2023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3:55-75.
    이 글의 목적은 퇴계의 정치사상을 리발·리동·리도설과의 상관성 속에서 분석함으로 써, 그 안에 담긴 실천적 함의를 밝히는데 있다. 성리학에서 이기론은 심성론과 수양론의 형이상학적 정당성을 제공하고, 심성론과 수양론은 다시 경세론으로 귀결되는 특징을 갖 는다. 그렇기에 퇴계의 경세론, 즉 정치사상에 관한 엄밀한 분석을 위해서는 이러한 특징 들을 고려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고에서는 리발·리동·리도설이 각각 심성론, 이기론, 수양론에서 리의 능동성을 긍정한 이론이라고 파악한다. 그리하여 각 이론들에 나타난 능 동성의 의미를 살펴보고 정치사상과의 관련성 속에서 그 함의를 분석한다. 퇴계의 정치사상은 성학으로 요약될 수 있으며, 성학은 다시 군심의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3.  6
    A Study on the Unvirtuousness of the Sadan - Focusing on the Discussion of Toegye and Gobong -. 배병대 - 2020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2:149-167.
    퇴계는 고봉과의 논변에서 사단은 리발이므로 불선이 없다고 단언하였다. 하지만, 그는 만년에 이르러 사단도 불선해질 수 있다고 말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퇴계의 입장 변경이 모순이 아니라, 오히려 성리학의 난제인 선한 성에서 악한 정이 발출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단초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BR 본 연구는 이러한 주장을 전개하기 위해, 먼저 사칠논변에서 퇴계와 고봉의 ‘사단의 불선’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퇴계가 『성학십도』에서 천명한 사단의 리발에 대한 두 경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퇴계가 만년에 사단의 불선을 말한 것은 그 본래적 속성으로 언급한 것이 아니라, 외부의 기에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4.  14
    A Study on the Local Autonomy Organization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Analysis of Toegye s Hyang-yak(鄕約). 김상현 - 2020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3:41-78.
    이 글은 우리 전통 내부에 존재했던 자치조직의 흔적을 찾아보고 그것에 대한 정당한 평가를 통해 우리사회에 적합한 자치조직의 모습을 그려보기 위한 의도에서 작성되었다. 이와 같은 목표를 이루기 위해 우리는 조선향약의 기원을 열었다고 평가받는 퇴계의 향약 을 주목할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퇴계의 「향입약조」 분석을 통해 조선시대 향 촌자치조직의 규약인 향약의 모습이 어떠한지, 그리고 그 속에서 얻을 수 있는 가치가 무 엇인지를 살펴봄으로써 현재 한국사회에 적합한 자치조직의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현재까지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5.  7
    Comparative Studies on Basic Principles and Force of Nature of Hoadam, Toegye and Yulgok.Euidong Hwang - 2008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49:191-217.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6.  9
    Woodam Jeong Si-han's Understanding of Toegye.Heuibok Kang - 2010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29:33-54.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7.  11
    A Comparative Study on In-mul-sung-dong-i-lon between Toegye scgool and Yulgok school in 18th century.NakJin Kim - 2009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26:151-183.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8.  4
    The characters of Xin-xue(心學) in Toegye's theory of Xing-li(性理說) and theory of moral culture. 안영석 - 2009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32 (32):19-43.
    퇴계의 성리설에 있어서 심성과 우주 본원의 리(理)에 관한 주장들은 리발설(理發說) 리동설(理動說)의 형태로 일관되게 지속된 반면, 물리(物理)에 관한 주장은 임종 직전에 리도설(理到說)로 수정되었다. 이는 그의 성리설이 일관된 통일성을 상당기간 갖추지 않고 있었음을 반증하는 사실이기도 하다. 왜 그렇게 되었을까? 이는 그의 학문이 논리적 이해 중심의 정합적인 이론체계 구축에 치중하는 학문이라기보다는 마음으로부터 확증되어가는 실재적인 리(理), 체험적인 리를 중시하는 강한 심학적 학문 특성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사물의 리와 심성의 리에 대해 상이한 인식과 접근방법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의 학문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마음에 내재하는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9.  7
    The Ideal Realms of Life Expressed in Toegye's Travel Essays. 홍성민 - 2014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41 (41):169-195.
    이 논문은 조선성리학자들의 遊山記에 나타난 두 가지 인생 태도를 포괄적이고 유기적으로 이해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조선성리학자들에게 있어 산수는 한편으로는 구도와 수양의 공간으로 인식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풍류와 유희의 공간으로 규정되었다. 그러나 이 두 의미는 상반되고 충돌하는 것이어서, 어떻게 양자를 정합적으로 이해해야 하는가의 의문이 제기되지 않을 수 없다. 이것은 그들이 추구했던 이상적인 인생 경지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과 연결되는 것이라는 점에서 철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이기도 하다. 이 논문은 특히 退溪의 遊山記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 문제에 대한 해답을 모색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우선 人生境界論에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0.  7
    Kobong Ki Dae-sung’s Critics on Toegye's Theory of Moral Emotions and Feelings. 남지만 - 2010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33 (33):45-72.
    본 논문에서 필자는 기대승이 사칠논쟁에서 퇴계의 호발설에 대한 비판한 점들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기대승의 사단칠정설의 변화를 밝혔다. 1566년 이전의 사칠설을 고봉의 초기설로 볼 수 있다. 이때의 고봉은 모든 감정을 천명지성에서 발원한 것으로 보아 모두 리발에 해당한다고 여겼다. 칠정을 천명지성에서 발원하여 나오는 것이라 하여 기발이라고만 할 수 없다고 본 것이다. 1566년, 기대승은 「사단칠정후설」, 「사단칠정총론」에서 칠정의 경우 감정 발현의 결과가 리와 기 두 측면으로 나타나는데, 리와 기 두 측면이 있다는 것을 기발이라고 할 수 있다고 후퇴한다. 그는 이렇게 순선한 사단에 대하여 선악이 모두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1.  13
    A Study on the 16th century ToeGye School’s thoughts on Confucian rituals : focusing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and the way of actualization.Jung DoeWon - 2012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71:5-34.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2.  15
    Study on Seong-ho's Criticism of Toegye's View on the Four-Seven Debate.Oh Jinsol - 2018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96:39-68.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3.  13
    A Comparative Study between Yang-ming Hsin-hsueh and Toegye Hsin-hsueh.Seajeong Kim - 2007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43:289-326.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4.  5
    Basics of Moral Philosophy in Toegye’s Ten Digrams on Sage Learning. 오지환 - 2015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76 (76):135-165.
    이 논문은 퇴계 이황의 도덕철학이 어떠한 기초위에서 전개되고 있는가에 관하여 검토하고 있다. 퇴계의 도덕철학의 개념을 다루기 전에, 우선 현 시대적 상황에서 도덕철학적 고찰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그 다음으로 도덕과 윤리 그리고 도덕철학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여 보았다. 여기서 도덕철학에 대한 개념이 동양과 서양에서 다소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성현도학연원」, 「무진육조소」, 『성학십도』를 내용적으로 비교하여. 퇴계 도덕철학의 연원과 특징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여기서는 퇴계 도덕철학이 정주 성리학이 보여주는 도통의식과 더불어 사림들의 소중화주의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리고 당시의 시대적 상황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5.  30
    朝鮮性理學의 普遍性과 特殊性.Young-Jin Choi - 2008 - Proceedings of the Xxii World Congress of Philosophy 9:195-205.
    Joseon neo-Confucianism critically reviewed Chinese Chu Zi Studies and transformed it as Joseon seonglihak through intense debates occurred in the process of trying to settle down the problems raised in the contemporary Joseon society. The representative theories of Joseon seonglihak includes sadanchiljeongron(四端七情論, the theory of the Four Beginnings and the Seven Feelings), inmulseongdongiron (人物性同異論, the theory of whether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are the same or different), seongbeomsimdongbudongron (聖凡心同不同論, the theory of whether the mind of the nobler man and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 citation  
  46.  5
    Spirit, Qi, and the Multitude: a comparative theology for the democracy of creation.Hyo-Dong Lee - 2014 - New York: Fordham University Press.
    We live in an increasingly global, interconnected, and interdependent world, in which various forms of systemic imbalance in power have given birth to a growing demand for genuine pluralism and democracy. As befits a world so interconnected, this book presents a comparative theological and philosophical attempt to construct new underpinnings for the idea of democracy by bringing the Western concept of spirit into dialogue with the East Asian nondualistic and nonhierarchical notion of qi. The book follows the historical adventures of (...)
    Direct download  
     
    Export citation  
     
    Bookmark  
  47.  35
    牛溪 成渾의 主理主氣纔發或主說에 關한 硏究.Kyo-Jin Sung - 2008 - Proceedings of the Xxii World Congress of Philosophy 9:303-313.
    The Li-Primacy Qi-Primacy theory (主理主氣說) of Sung Woogye, Neo-Confucian scholar in 16th century Joseon dynasty, is contained in the 5 letters among the 9 letters of inquiry sent to Yi Yulgok. What Woogye liked to emphasize was, when our mind of Li Qi combination (理氣合物) begins to arise, Li and Qi does not arise separately but Li and Qi become prime (主) or subordinate (從) alternatively to be in a thread. It is that we approach one thread to take the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8.  15
    Korean Neo-Confucian Thought.Michael C. Kalton - 2017 - In Young-Chan Ro (ed.), Dao Companion to Korean Confucian Philosophy. Springer Verlag. pp. 17-46.
    This paper reviews the history of Korean Neo-Confucian thought from its introduction in the late fourteenth century until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With the founding of Joseon in 1392 the Neo-Confucian synthesis that had swept China was adopted in Korea, replacing the Buddhist establishment of the previous dynasty. The introductory section discusses the major figures in this transition and their grasp of the new metaphysical framework and ascetical theory which now supplemented the traditional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Export citation  
     
    Bookmark  
  49.  9
    A Study on the Review and Prospect of Honam Confucian Studies.박학래 Hak-Rae) - 2022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57:5-38.
    Research on Confucianism in Honam is in full swing in connection with raising interest in regional studies. However, the independent area of Honam Confucianism is still not very prominent in the overall study of Korean Confucianism. It can be said that the lack of specific research interest in the independent domain of Honam Confucianism is due to the existing arguments related to the setting of the category of Korean Confucian studies mediated by the region. The regional categories related to the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0. Yu Sung-jo’s Theory of Heart-Mind and Nature. 전병욱 - 2024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62:177-204.
    Yu Sung-jo’s Daehakjam was greatly influenced by Kwon-Geun’s Iphak doseol, and his Seongli yeonwon chwaryo actively utilized Cheng Fuxin’s Sishu zhangtu, etc. In Zhuzi, the heart-mind is synchronically explained to be composed of li and qi and diachronically encompasses xing and qing. Yu Sung-jo understood heart-mind in the perspective of mingde 明德 as a whole, meaning that the heart-mind in reality is only a state that has not fully maintained its mingde, and its essence is the same as mingde. All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 — 50 /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