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xamination of ‘Brahmavādinī’ in the Bṛhadāraṇyaka Upaniṣad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33 (33):31-58 (2011)
  Copy   BIBTEX

Abstract

공식적인 철학 논쟁의 경연장인 BĀU의 세 번째 칸타에서는 산스크리트 문헌에서 최초이자 유일한 여성철학자라고 불리는 가르기 바짜크나비가 등장하고, 네 번째 칸타에서는 ‘브라흐마바디니’라고 직접 지칭되고 있는 마이트레이가 등장한다. 마이트레이는 야즈냐발키야의 배우자로서 사적인 대화에서 최고의 지식을 추구하며 ‘불멸’을 염원하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가르기는 철학적 토론의 경연장에서 대론의 상대자로서 야즈냐발키야에게 형식적으로는 새로운 요소를 도입하기도 하며, 내용적으로는 가장 핵심적인 주제와 관련된 질문을 한다. 그리고 야즈냐발키야의 지적 우월성을 공식적으로 선포할 수 있을 정도의 권위와 자격을 갖추었다. 브라흐마바디니로서 이들의 모습은 남성 중심의 브라만 사유 전통에서 이상적 여성의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는 배우자 내지 종속적 의미의 동반자로서의 여성의 이미지와는 상반된다. 이들은 각각 공적인 영역과 사적인 영역에서 철학적 지식을 학습한 여성이 행위의 독립된 주체로서 사유하고 활동할 수 있음을 증명한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369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A Study on maternal ethics for reconstruction of moral domain. 이혜정 - 2007 - Korean Feminist Philosophy 8 (8):91-113.
Malebranche on the Passions. 이재환 - 2019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26:167-194.
The Time of Woman and the Time of Aion. 연효숙 - 2015 - Korean Feminist Philosophy 23 (null):89-118.
The Maṅgalaśloka of the Pramāṇasamucaya and the Dasheng Qixin Lun. 성청환 - 2016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46 (46):161-188.
Choson Confucianism in American Academy. 성동권 - 2009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57 (57):411-459.
Demonstration Problem of the Transcendental · Objective Final Grounding. 이재성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9:247-272.

Analytics

Added to PP
2023-02-28

Downloads
16 (#1,199,504)

6 months
13 (#268,562)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