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dy Memory and Self-identity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78:149-178 (2018)
  Copy   BIBTEX

Abstract

몸의 기억은 일종의 암묵적 기억으로서 삶의 과정동안 형성된 지각습관과 운동 감각, 상황과 공간 경험 그리고 다른 사람과의 신체적 상호 작용을 통해 형성된 행위구조 속에 침전되어 평생 개인의 삶에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몸의 기억은 언제나 삶의 세계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개인이 살아온 삶의 역사가 담긴 자기 정체성의 근원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의 인격의 지속성은 주체가 스스로 기술한 자기 서사에서 확인되는 것이 아니라, 암묵적으로 침전된 개인의 역사가 현재화되는 몸의 기억에서 근본적으로 확인되는 것이다. 그래서 몸의 기억은 우리가 항상 되돌아가는 전반성적인 자기 신뢰의 지점이며 자기정체성의 기반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몸의 기억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는 특히 치매를 앓고 있는 환자에게 세상에 대한 신뢰와 자기 자신에 대한 안정감을 되찾을 수 있는 돌봄의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다. 또한 뇌졸중 환자의 회복 체험에 대한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들은 몸의 회복이란 삶의 환경과 엮여 있는 생활습관, 가치관, 관심 등이 통합적으로 육화된 몸의 기억을 회복하는 데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몸의 기억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는 뇌졸중환자, 치매환자에서 뿐만이 아니라 몸의 회복을 목표로 하는 다양한 의료 실천현장에서 신체적 자기 정체성의 회복을 위한 돌봄의 실천 방향을 제시해준다고 여겨진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423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Montaigne, Philosopher of Pleasure and Life Affirmation. 이재훈 - 2016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15:137-163.
A Critique of Moral Judgments Dependent on Body - From the Perspective of Virtue Ethics -. 한곽희 - 2022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8:265-287.
Self-Knowledge, Dialogue, and Communes. 이선형 - 2017 - Korean Feminist Philosophy 28:87-119.
Le souci de soi dans la philosophie de foucault. 안현수 - 2009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54 (54):345-362.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1

Downloads
21 (#1,014,604)

6 months
12 (#311,239)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