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ignificance of Appropriateness in Gi Daeseung’s Emotion Theory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47 (47):67-100 (2017)
  Copy   BIBTEX

Abstract

이 논문은 中節 개념을 중심으로 고봉 기대승의 사단칠정론에 내포된 철학적 의의를 조명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이 논문에서는 우선 퇴계와 다른 고봉의 칠정 개념을 분석하였다. 논문에 따르면 퇴계와 고봉의 논쟁은 칠정 개념에 대한 이해 차이에서 비롯되었는데, 고봉은 『중용』의 ‘性發爲情’ 논리에 입각하여 칠정도 사단과 마찬가지로 본질적으로는 선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사단과 칠정, 즉 순선한 감정과 유선유악한 감정의 차이는 오직 중절에 있을 뿐이라고 강조하였다. 이 논문에 따르면, 중절이란 감정이 현실에서 도덕적 적절성을 성취한 것으로, 고봉에게 있어 사단은 현실에서 도덕적 적절성을 획득한 감정이라고 규정된다. 이러한 고봉 사칠론의 함의를 조명하기 위해 이 논문은 중절의 의미가 무엇인지 분석하고 있다. 아울러 고봉이 四端不中節의 문제를 제기하여 퇴계를 비판하면서도 퇴계의 호발설을 수용한 이유에 대해 설명하면서, 중절 문제를 중심으로 고봉의 사단칠정론을 종합적으로 해명하고 있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139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A Study on Teogye’s Viewpoints of Four origins and Seven Human Emotions. 선병삼 - 2014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79 (79):211-238.
The Dissolution of Four-Seven Debate and Unification of Goodness. 홍성민 - 2018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96 (96):7-37.
A Study on the Unvirtuousness of the Sadan - Focusing on the Discussion of Toegye and Gobong -. 배병대 - 2020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2:149-167.

Analytics

Added to PP
2023-02-28

Downloads
7 (#1,639,166)

6 months
3 (#1,473,720)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